AD
[앵커]
올해 3월, 산불 발생 위험이 최근 10년 사이 가장 높다는 정부의 공식 분석이 나온 것으로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오늘(25일)부터는 대형산불의 주범인 '양간지풍'이 동해안에 불어올 것으로 보여 더욱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혜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역대 최악의 봄철 산불로 기록된 2022년 울진-삼척 산불.
경북 울진 산불이 강원도 삼척까지 번지며 피해 면적만 만 6천ha에 달했습니다.
건조한 가운데 산맥을 넘은 강풍으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한 건데,
서울 면적의 27%가 잿더미로 변하며 2000년 동해안 산불에 이어 역대 2위로 피해가 큰 산불로 기록됐습니다.
이 같은 대형 산불이 올해 또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메마른 날씨에 기온이 점차 오르면서 한주 사이 산불 발생 건수가 3배(6→20) 이상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번 주 '남고북저' 형태의 기압 배치가 나타나며 대형 산불의 주범인 '양간지풍'이 더해져 동해안을 중심으로 산불 위험이 커질 전망입니다
[우진규 /YTN재난자문위원·기상청 통보관 : 양간지풍은 양양과 간성 사이에서 부는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영동과 동해안에는 앞으로 이틀 정도 초속 25m 이상의 돌풍이 불겠습니다.]
작은 불씨가 큰불로 번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봄이 시작하는 3월에 산불 위험도가 더욱 커져 최근 10년 사이 최고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과거 39년으로 기간을 넓히면 역대 세 번째로 높은 산불 발생위험 수치입니다.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장 : 올해 봄은 건조한 날씨와 높은 기온으로 산불 발생 위험이 클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특히 3월 산불 발생 위험 예측 결과 최근 10년 중 올해가 가장 높게 분석됐으며 이는 과거 39년 분석 자료 중 세 번째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림청은 초봄에는 높은 기온과 강풍, 메마른 날씨가 겹치고 야외 활동에 따른 실화가 가세해 산불이 급증할 수 있다며 산림 주변 불씨 사용에 각별히 유의하라고 당부했습니다.
YTN 정혜윤입니다.
YTN 정혜윤 (soj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올해 3월, 산불 발생 위험이 최근 10년 사이 가장 높다는 정부의 공식 분석이 나온 것으로 YTN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오늘(25일)부터는 대형산불의 주범인 '양간지풍'이 동해안에 불어올 것으로 보여 더욱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정혜윤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역대 최악의 봄철 산불로 기록된 2022년 울진-삼척 산불.
경북 울진 산불이 강원도 삼척까지 번지며 피해 면적만 만 6천ha에 달했습니다.
건조한 가운데 산맥을 넘은 강풍으로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한 건데,
서울 면적의 27%가 잿더미로 변하며 2000년 동해안 산불에 이어 역대 2위로 피해가 큰 산불로 기록됐습니다.
이 같은 대형 산불이 올해 또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메마른 날씨에 기온이 점차 오르면서 한주 사이 산불 발생 건수가 3배(6→20) 이상 크게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이번 주 '남고북저' 형태의 기압 배치가 나타나며 대형 산불의 주범인 '양간지풍'이 더해져 동해안을 중심으로 산불 위험이 커질 전망입니다
[우진규 /YTN재난자문위원·기상청 통보관 : 양간지풍은 양양과 간성 사이에서 부는 고온 건조한 바람으로, 영동과 동해안에는 앞으로 이틀 정도 초속 25m 이상의 돌풍이 불겠습니다.]
작은 불씨가 큰불로 번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봄이 시작하는 3월에 산불 위험도가 더욱 커져 최근 10년 사이 최고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과거 39년으로 기간을 넓히면 역대 세 번째로 높은 산불 발생위험 수치입니다.
[오정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연구과장 : 올해 봄은 건조한 날씨와 높은 기온으로 산불 발생 위험이 클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특히 3월 산불 발생 위험 예측 결과 최근 10년 중 올해가 가장 높게 분석됐으며 이는 과거 39년 분석 자료 중 세 번째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림청은 초봄에는 높은 기온과 강풍, 메마른 날씨가 겹치고 야외 활동에 따른 실화가 가세해 산불이 급증할 수 있다며 산림 주변 불씨 사용에 각별히 유의하라고 당부했습니다.
YTN 정혜윤입니다.
YTN 정혜윤 (sojung@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