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형 산불' 끝이 아니다...'무용지물' 진화체계 점검부터

'초대형 산불' 끝이 아니다...'무용지물' 진화체계 점검부터

2025.04.06. 오전 07:1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피해 1,000ha 넘으면 산림청장 지휘…감시체계 강화
드론 등 감시 강화했지만 ’초대형 산불’에 무용지물
산불 대응 체계 상시화·경보 시스템 등 변화 필요
산불 현장, 통합 지휘할 중앙 통제 기관도 필요
AD
[앵커]
역대 최악의 피해를 남긴 경북 의성과 경남 산청의 초대형 산불, 언제든 또 일어날 수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산불의 대형화, 상시화에 대비해 산림 체계를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는데요.

무엇을 어떻게 바꿔야 할지 오늘부터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초대형 산불의 경고] 먼저 첫 번째로 현재 대응 상황을 전반적으로 진단해봤습니다.

정혜윤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22년 발생한 울진·삼척 산불은 213시간이라는 역대 최장 산불 기록을 세우며 처음으로 초대형 산불에 대한 위협을 느끼게 했습니다.

이를 계기로 산림 당국은 대응 체계를 기존 3단계를 유지하되,

초대형 산불에 대비해 1,000ha가 넘으면 지휘권을 기존 시도 단위에서 산림청장이 갖도록 체계를 정비했습니다.

또 인공지능과 드론 등을 활용한 산불 감시 체계도 강화했습니다.

하지만 3년이 지난 올해, 초대형 산불의 확산력에 산불 진화 체계와 대응은 무용지물이었습니다.

전문가조차 혀를 내두른 초대형 산불이 앞으로는 더 자주 한반도를 찾아올 것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반기성 / YTN재난자문위원·케이클리이밋대표 ㅣ 기후변화와 온난화로 지구가 이미 산업혁명 이래 가장 뜨거운 상태고, 한반도는 지구 평균보다 온난화 속도가 2배 이상 빠릅니다. 이번에 고온에 강풍 등 기후요소가 다 겹쳐 초대형 산불이 발생했는데, 우리도 이젠 이례적인 게 아닙니다.]

산불 전문가들은 봄과 가을에 맞춰져 있는 산불 대응 체계를 상시화하고, 경보 시스템과 감시나 진화용 설비를 보충하는 등 전반적인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이병두 /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재난환경연구부장· YTN 재난자문위원 : 초대형 산불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거고요 이제는 봄, 가을만이 아닌, 1년 365일 상시 대응체계로 가야 합니다, 지금 사용되는 대형 헬기보다 더 큰 헬기들이 추가 확보돼야 하고 드론 등의 추가 자원들도 다시 도입을 검토해야 합니다.]

또 조기에 산불을 감지하고 경보를 낼 수 있는 조기경보시스템도 제대로 갖춰야 합니다

또 주민 대피를 위한 재난 문자 발송 시스템도 산불 확산 시스템과 연계해 재생산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특히 산불 현장에서는 빠른 산불 확산을 통합적으로 지휘할 중앙 통제 기관이 필요하다는 겁니다.

[김성용 / 국립경국대학교 산림과학과 교수 : 컨트롤 타워가 필요합니다. 중앙통제가 필요하고 통합적인 관리를 통하게 된다면 진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산불위치정보를 많이 가진 기관이 통합 관리를 해야 한다고….]

각 지자체에서는 평소에 대피 훈련을 강화해 재난 발생 시 주민 스스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임도 개발과 숲 가꾸기 통해 보다 효율적인 숲 조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YTN 정혜윤입니다.


영상편집 : 박정란



YTN 정혜윤 (jh0302@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