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내 연구진이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비만과 치매, 노화가 어떻게 불안정한 수면을 유발하는지를 밝히고, 해결책을 제시했습니다.
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팀이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세포 내 분자 이동을 방해하는 세포질 혼잡이 불안정한 일주기 리듬과 수면 사이클을 유발함을 예측했습니다.
또,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 이주곤 교수팀과 실험을 통해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수학과 생명과학의 융합 연구를 통해 밝힌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이정우[leejwo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KAIST 수리과학과 김재경 교수팀이 수학적 모델을 이용해 세포 내 분자 이동을 방해하는 세포질 혼잡이 불안정한 일주기 리듬과 수면 사이클을 유발함을 예측했습니다.
또, 미국 플로리다주립대학 이주곤 교수팀과 실험을 통해 검증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수학과 생명과학의 융합 연구를 통해 밝힌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온라인판에 실렸습니다.
이정우[leejwo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온라인 제보] www.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