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현대건축의 1세대로 꼽히는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단독주택이 근대문화 재생사업 1호로 새롭게 단장됩니다.
인천의 개항장에 위치한 근대문화자산들을 시민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보존하는 첫걸음입니다.
이기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자유공원 계단 아래 자리 잡은 벽돌로 지은 단독주택.
우리나라 현대건축의 1세대인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집으로 그가 인천에 남긴 건축물은 유엔상륙작전기념관과 이 벽돌집, 단 2곳입니다.
1977년에 준공된 집은 내부 공간의 층간 높이를 최대한 압축해 스킵 플로어 형태로 생동감이 넘치도록 한 구조입니다.
거친 질감의 파벽돌을 활용하면서, 동양적인 감성을 살린 아치 구조의 벽체.
자연채광을 최대로 살린 다양한 형태의 창들과 빛의 파노라마가 건축학적 가치를 높여주고 있습니다.
[박미진 / 인천대 도시건축학부 교수 : 현관에서 여기까지 들어오는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의 유입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교감, 집으로 들어가는 데 대한 안정감, 이런 것들을 풀어내려고 했었죠.]
언덕 위 벽돌집이라는 별칭의 이 집은 인천의 유력가 집안으로부터 인천도시공사가 최근 매입했습니다.
사회적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들을 리모델링하는 근대문화자산 재생 1호 사업입니다.
[이승우/ 인천도시공사 사장 : 인천 같은 경우는 근대건축 문화자산을 많이 갖는 도시다 보니까 저희들이 소멸되거나 소멸될 수 있는 그런 건축문화자산을 보전해야 되겠다.]
이 벽돌집은 7월까지 리모델링과 민간 운영자 선정을 거쳐 하반기부터 시민들에게 공개될 예정입니다.
해마다 순이익의 3% 범위 내에서 도시 재생사업 기금으로 사용하기로 한 인천도시공사는 가치가 높은 건축 자산을 찾아 지역의 문화거점으로 하나씩 쌓아 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
YTN 이기정입니다.
YTN 이기정 (leek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대건축의 1세대로 꼽히는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단독주택이 근대문화 재생사업 1호로 새롭게 단장됩니다.
인천의 개항장에 위치한 근대문화자산들을 시민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보존하는 첫걸음입니다.
이기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자유공원 계단 아래 자리 잡은 벽돌로 지은 단독주택.
우리나라 현대건축의 1세대인 건축가 김수근이 설계한 집으로 그가 인천에 남긴 건축물은 유엔상륙작전기념관과 이 벽돌집, 단 2곳입니다.
1977년에 준공된 집은 내부 공간의 층간 높이를 최대한 압축해 스킵 플로어 형태로 생동감이 넘치도록 한 구조입니다.
거친 질감의 파벽돌을 활용하면서, 동양적인 감성을 살린 아치 구조의 벽체.
자연채광을 최대로 살린 다양한 형태의 창들과 빛의 파노라마가 건축학적 가치를 높여주고 있습니다.
[박미진 / 인천대 도시건축학부 교수 : 현관에서 여기까지 들어오는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의 유입과정에서 느끼는 정서적 교감, 집으로 들어가는 데 대한 안정감, 이런 것들을 풀어내려고 했었죠.]
언덕 위 벽돌집이라는 별칭의 이 집은 인천의 유력가 집안으로부터 인천도시공사가 최근 매입했습니다.
사회적 역사·문화적 가치를 지닌 건축물들을 리모델링하는 근대문화자산 재생 1호 사업입니다.
[이승우/ 인천도시공사 사장 : 인천 같은 경우는 근대건축 문화자산을 많이 갖는 도시다 보니까 저희들이 소멸되거나 소멸될 수 있는 그런 건축문화자산을 보전해야 되겠다.]
이 벽돌집은 7월까지 리모델링과 민간 운영자 선정을 거쳐 하반기부터 시민들에게 공개될 예정입니다.
해마다 순이익의 3% 범위 내에서 도시 재생사업 기금으로 사용하기로 한 인천도시공사는 가치가 높은 건축 자산을 찾아 지역의 문화거점으로 하나씩 쌓아 나가겠다는 계획입니다.
YTN 이기정입니다.
YTN 이기정 (leekj@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