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서 ’천마총 발굴 50주년’ 기념행사 열려
국립경주박물관, 천마도 실물 9년 만에 공개
’천마도’ 빛에 약해 지금까지 3차례만 실물 공개
국립경주박물관, 천마도 실물 9년 만에 공개
’천마도’ 빛에 약해 지금까지 3차례만 실물 공개
AD
[앵커]
경주하면 떠오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천마총이지요.
천마총은 우리 손으로 신라 고분을 제대로 발굴한 첫 사례로 평가받는데요.
올해 발굴 50주년을 맞아 천마도 4점이 동시에 공개되는 등 다양한 행사가 잇따라 열립니다.
취재기자 전화로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봅니다. 허성준 기자!
[기자]
네, 대구경북취재본부입니다.
[앵커]
오늘 천마총 발굴 5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경주에서 열린다고요?
[기자]
네, 조금 뒤 1시 반부터 경주 대릉원에서 특별 행사가 열립니다.
천마총 발굴 50년의 성과와 발전을 되돌아보고, 미래 백 년을 다짐하는 비전 선포식입니다.
이에 맞춰 국립경주박물관은 천마도 실물을 9년 만에 공개합니다.
천마도는 사실상 신라의 유일한 회화자료라 할 수 있는데요.
자작나무 껍질을 여러 겹 겹쳐 만든 판 위에 하얀색 천마를 그린 말다래로 위아래 두 점이 겹쳐서 출토됐습니다.
빛에 약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두 차례만 공개됐고, 지난 2014년 경주박물관에서 한 차례 더 공개된 뒤 지금까지 수장고에 보관됐습니다.
경주박물관은 대중에 널리 알려진 아래쪽 말다래는 다음 달 11일까지, 상대적으로 손상이 심했던 위쪽 말다래는 그 이후 한 달여 동안 전시할 계획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천마총 금동판 말다래와 금령총, 금관총에서 나온 천마 무늬 말다래도 함께 공개돼 천마도 4점이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입니다.
또 신라 황금 문화의 정수로 꼽히는 금제 대관 등 천마총 출토품도 볼 수 있습니다.
경주시는 5월 한 달 동안 대릉원을 무료 개방하고, 신라 고분의 아름다움과 웅장함을 보여주는 문화유산 미디어아트도 선보입니다.
천마총은 5세기 후반 혹은 6세기 초반으로 추정되는 왕릉급 무덤인데요.
지난 1973년 4월부터 발굴조사가 이뤄졌고, 천마도 장니와 신라금관 등 국보와 보물 10개를 포함한 유물 만 천5백여 점이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대구경북취재본부에서 YTN 허성준입니다.
YTN 허성준 (hsjk2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주하면 떠오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천마총이지요.
천마총은 우리 손으로 신라 고분을 제대로 발굴한 첫 사례로 평가받는데요.
올해 발굴 50주년을 맞아 천마도 4점이 동시에 공개되는 등 다양한 행사가 잇따라 열립니다.
취재기자 전화로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봅니다. 허성준 기자!
[기자]
네, 대구경북취재본부입니다.
[앵커]
오늘 천마총 발굴 5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가 경주에서 열린다고요?
[기자]
네, 조금 뒤 1시 반부터 경주 대릉원에서 특별 행사가 열립니다.
천마총 발굴 50년의 성과와 발전을 되돌아보고, 미래 백 년을 다짐하는 비전 선포식입니다.
이에 맞춰 국립경주박물관은 천마도 실물을 9년 만에 공개합니다.
천마도는 사실상 신라의 유일한 회화자료라 할 수 있는데요.
자작나무 껍질을 여러 겹 겹쳐 만든 판 위에 하얀색 천마를 그린 말다래로 위아래 두 점이 겹쳐서 출토됐습니다.
빛에 약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두 차례만 공개됐고, 지난 2014년 경주박물관에서 한 차례 더 공개된 뒤 지금까지 수장고에 보관됐습니다.
경주박물관은 대중에 널리 알려진 아래쪽 말다래는 다음 달 11일까지, 상대적으로 손상이 심했던 위쪽 말다래는 그 이후 한 달여 동안 전시할 계획입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천마총 금동판 말다래와 금령총, 금관총에서 나온 천마 무늬 말다래도 함께 공개돼 천마도 4점이 반세기 만에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입니다.
또 신라 황금 문화의 정수로 꼽히는 금제 대관 등 천마총 출토품도 볼 수 있습니다.
경주시는 5월 한 달 동안 대릉원을 무료 개방하고, 신라 고분의 아름다움과 웅장함을 보여주는 문화유산 미디어아트도 선보입니다.
천마총은 5세기 후반 혹은 6세기 초반으로 추정되는 왕릉급 무덤인데요.
지난 1973년 4월부터 발굴조사가 이뤄졌고, 천마도 장니와 신라금관 등 국보와 보물 10개를 포함한 유물 만 천5백여 점이 나왔습니다.
지금까지 대구경북취재본부에서 YTN 허성준입니다.
YTN 허성준 (hsjk23@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