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7월 대구경북 통합 자치단체 출범"...범정부 지원단 구성

"2026년 7월 대구경북 통합 자치단체 출범"...범정부 지원단 구성

2024.06.04. 오후 9:5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두 광역자치단체가 행정 통합을 통해 인구 500만 명의 거대 도시를 만들겠다고 나섰습니다.

정부도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통해 오는 2026년 민선 9기 시작과 함께 통합도시를 출범시키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이윤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또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상북도지사가 한자리에 마주 앉았습니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하나로 합쳐 이른바 '대구경북통합특별시'로 만들기 위해 머리를 맞대고 앉은 겁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금의 행정 체제가 100년 동안 변하지 않았다면서 지방행정개혁의 신호탄이 될 거라며 운을 뗐습니다.

[홍준표 / 대구광역시장 : 대한민국은 한 100년 동안 3단계 행정체제로 이뤄져 왔는데, 이제는 2단계 행정체제로 전환할 때가 됐다고 봅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통합을 계기로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으로 대폭 이양해 지방 균형 발전을 이루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철우 / 경상북도지사 :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또 지방 소멸을 막고 대한민국을 완전히 새 판을 짜는 그런 형태로 가야 합니다. 단순히 대구·경북만 통합해서는 해결이 안 되고 중앙에 있는 권한을 많이 내놔야 합니다.]

정부는 통합 비용을 지원하고, 행정·재정적 특례를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입니다.

'서울특별시'처럼 기존 광역시나 도와는 다른 지위를 주겠다는 거로 풀이됩니다.

또 이를 위해 '범정부 통합지원단'을 구성할 예정입니다.

[이상민 / 행정안전부 장관 : 대통령께서도 잘 챙겨보고 적극 지원하라고 말씀하신 만큼 앞으로는 중앙과 지방이 더욱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500만 대구·경북 주민들이 지지하는 통합 방안을 만들어가길 희망합니다.]

정부와 대구·경북은 민선 9기가 시작되는 오는 2026년 7월 1일 통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올해 안에 특별법을 만들 계획입니다.

2년 남짓한 시간 안에 주민 동의와 통합의 근거가 될 특별법 마련, 또 새로운 체재에 맞는 조직 구성 등 과제가 산적한 상황.

전례 없는 광역자치단체 통합으로 수도권에 맞설 새로운 거대 도시가 탄생할지 주목됩니다.

YTN 이윤재입니다.


촬영기자 : 전기호


YTN 이윤재 (lyj102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