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 "아파트 완공 뒤 분양...건설비 현실화해야"

SH "아파트 완공 뒤 분양...건설비 현실화해야"

2024.06.17. 오후 8:37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서울주택도시공사, SH가 다음 달부터는 아파트를 모두 지은 뒤에 분양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부실시공 피해를 막고 고품질 주택을 공급하기 위해서인데, 이를 위해서는 원가보다 낮은 건축비 기준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SH는 지난 2021년 오세훈 서울시장 취임 뒤 분양원가를 다시 공개했습니다.

이어 이듬해엔 토지임대부, 즉, 땅은 SH가 계속 보유하되, 건물은 공개한 건축비 원가에 약간의 이윤만 붙이는 방식으로 '반값 아파트'를 공급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김헌동 / 서울주택도시공사(SH) 사장 (2022년 2월) : (건축비가 평당) 8백만 원이 된다고 치면 25평이면 약 2억 정도 들어갈 거예요. 그죠? 그래서 얼마든지 3억 원에 분양할 건데….]

하지만, 국토부의 '기본형 건축비'가 발목을 잡았습니다.

SH는 실제 공사비의 45~55%에 불과한 '기본형 건축비'에 묶여, 지난 20년간 건축비에서 10%씩 손해를 봤다면서

손해를 메우려고 공공주택 공사들이 택지 가격을 부풀리면서 분양가도 치솟았다고 비판했습니다.

[김헌동 / 서울주택도시공사(SH) 사장 : (땅은 평당) 6백만 원에 확보한 것을 평당 1,200~1,300만 원에 팔아서 거의 2배 남긴 거죠. 땅값에서.]

SH공사는 공공주택도 민간 주상복합 수준으로 제대로 짓겠다며 건축비 현실화를 촉구했습니다.

SH 아파트는 앞으로 100% 완공 뒤 분양하고 이때 실제 들어간 건축비를 투명하게 공개할 테니, 건축원가에 기반해 분양가를 정할 수 있게 허용해 달라는 겁니다.

[김헌동 / 서울주택도시공사(SH) 사장 : (후분양하니까) 이미 원가가 얼마인지 우리가 다 알고 있다. 거기에 이윤만 보태서 분양을 할 수 있게 해달라. 짓지도 않은 아파트를 파는 것과는 근본이 다르다. 근데 (국토부가) 그 결정을 못 하고 있어요.]

SH가 건축비 현실화를 공개 촉구한 건, 서울에 남은 빈 택지가 거의 없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재건축을 통해 공급을 창출해야 하는데 건축비가 손해가 나는 상황에서는 서울에선 100년을 갈 고급 주택은커녕 공공주택 사업 자체가 사실상 어렵다는 겁니다.

YTN 김현아입니다.


촬영기자;신홍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