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시가 민생경제와 노동시장을 살리기 위해 일자리 41만 개 창출을 목표로 예산 2조7천억 원을 투입합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 일자리 예산으로, 특히, 목표 일자리의 80%인 33만 개를 상반기 안에 만들어 낼 거라고 시는 밝혔습니다.
시는 먼저, 청년들이 노동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청년취업사관학교'를 통해 '일 경험'과 신산업 중심의 직업훈련과 일자리 연계를 확대합니다.
또, 장기적인 민간 일자리 위축에 대비해 실업자와 중·고령층 등을 위한 '서울 동행 일자리'를 만2천 명 규모로 추진하고, 중견·중소기업 퇴직자 5백 명을 대상으로 이직과 전직, 재취업을 지원합니다.
폐업 후 취업을 원하는 소상공인은 직업훈련을 제공하고, 디딤돌소득 가구와 함께 '서울시 일자리센터' 지원 대상으로 포함해 취업 지원에도 나섭니다.
시는 이와 함께 강소기업 50곳을 선정하고, 이들 기업이 청년 정규직을 새로 채용하면 기업당 3명까지 총 4천5백만 원의 '근무환경개선금'을 지원해 육아 시설 설치나 자기계발비, 건강검진비 등 사내 복지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더불어, 오는 3월에는 '서울시 4050 중장년 취업박람회'를, 11월에는 '청년 IT 일자리 박람회'를 열어 구직을 돕습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이는 역대 최대 규모 일자리 예산으로, 특히, 목표 일자리의 80%인 33만 개를 상반기 안에 만들어 낼 거라고 시는 밝혔습니다.
시는 먼저, 청년들이 노동 시장에 진입할 수 있도록 '청년취업사관학교'를 통해 '일 경험'과 신산업 중심의 직업훈련과 일자리 연계를 확대합니다.
또, 장기적인 민간 일자리 위축에 대비해 실업자와 중·고령층 등을 위한 '서울 동행 일자리'를 만2천 명 규모로 추진하고, 중견·중소기업 퇴직자 5백 명을 대상으로 이직과 전직, 재취업을 지원합니다.
폐업 후 취업을 원하는 소상공인은 직업훈련을 제공하고, 디딤돌소득 가구와 함께 '서울시 일자리센터' 지원 대상으로 포함해 취업 지원에도 나섭니다.
시는 이와 함께 강소기업 50곳을 선정하고, 이들 기업이 청년 정규직을 새로 채용하면 기업당 3명까지 총 4천5백만 원의 '근무환경개선금'을 지원해 육아 시설 설치나 자기계발비, 건강검진비 등 사내 복지 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더불어, 오는 3월에는 '서울시 4050 중장년 취업박람회'를, 11월에는 '청년 IT 일자리 박람회'를 열어 구직을 돕습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