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경남 함양군의 서하초등학교는 이주 학부모에 대한 파격 지원으로 전교생을 3배 가까이 늘린 성공 사례로 꼽힙니다.
최근 함양 마천초등학교도 지역민과 학교가 힘을 합쳐 도약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SCS 서경방송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리산 아래 자리한 경남 함양군 마천초등학교.
다니는 학생이 20명이 채 되지 않는 작은 학교라 폐교 위기에 처했습니다.
2년 뒤 학생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 전망인데, 고립된 위치 탓에 통폐합조차 어렵습니다.
가장 가까운 학교가 전북 남원에 있기 때문입니다.
폐교를 두고 볼 수 없는 교직원과 지역민 등 40여 명이 위원회를 꾸려 학교 살리기 사업에 나섰습니다.
[이영애 / 경남 함양 마천초등학교 교장 : 2027년도에는 전교생 10명 그리고 3개의 학년만 있는 학교가 됩니다. 우리 학교는 정말 폐교 위기에 서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어떻게 해서든지 이 위기를 극복하고자….]
위원회는 빈집을 활용한 거주지 제공, 전학생 장학금 지원, 작은 학교 살리기 사업 공모에 지원하는 등 추진 계획을 세웠습니다.
학교 차원에서는 마천초만의 교육 과정인 '꿈동산 프로젝트'를 강화해 추진합니다.
[손명옥 / 경남 함양 마천초등학교 교사 : 꿈은 글로벌 미래 교육, 영어 교육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있고요. 동은 동화 같은 세상 연극 교육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산은 지역의 지리산을 활용하여….]
파격적인 혜택에 서울부터 부산까지 전국 각지에서 문의가 이어졌고 현재 14명의 전입이 이뤄졌습니다.
전교생을 3배 가까이 늘려 작은 학교 살리기의 모범이 된 함양 서하초등학교처럼 마천초등학교가 또 하나의 기적을 이룰지 주목됩니다.
SCS 김연준입니다.
YTN 김연준 scs (john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남 함양군의 서하초등학교는 이주 학부모에 대한 파격 지원으로 전교생을 3배 가까이 늘린 성공 사례로 꼽힙니다.
최근 함양 마천초등학교도 지역민과 학교가 힘을 합쳐 도약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SCS 서경방송 김연준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리산 아래 자리한 경남 함양군 마천초등학교.
다니는 학생이 20명이 채 되지 않는 작은 학교라 폐교 위기에 처했습니다.
2년 뒤 학생 수가 절반으로 줄어들 전망인데, 고립된 위치 탓에 통폐합조차 어렵습니다.
가장 가까운 학교가 전북 남원에 있기 때문입니다.
폐교를 두고 볼 수 없는 교직원과 지역민 등 40여 명이 위원회를 꾸려 학교 살리기 사업에 나섰습니다.
[이영애 / 경남 함양 마천초등학교 교장 : 2027년도에는 전교생 10명 그리고 3개의 학년만 있는 학교가 됩니다. 우리 학교는 정말 폐교 위기에 서게 됩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어떻게 해서든지 이 위기를 극복하고자….]
위원회는 빈집을 활용한 거주지 제공, 전학생 장학금 지원, 작은 학교 살리기 사업 공모에 지원하는 등 추진 계획을 세웠습니다.
학교 차원에서는 마천초만의 교육 과정인 '꿈동산 프로젝트'를 강화해 추진합니다.
[손명옥 / 경남 함양 마천초등학교 교사 : 꿈은 글로벌 미래 교육, 영어 교육을 중점적으로 시행하고 있고요. 동은 동화 같은 세상 연극 교육을 중점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산은 지역의 지리산을 활용하여….]
파격적인 혜택에 서울부터 부산까지 전국 각지에서 문의가 이어졌고 현재 14명의 전입이 이뤄졌습니다.
전교생을 3배 가까이 늘려 작은 학교 살리기의 모범이 된 함양 서하초등학교처럼 마천초등학교가 또 하나의 기적을 이룰지 주목됩니다.
SCS 김연준입니다.
YTN 김연준 scs (johnpark@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