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국내 치매 발병률도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국내·외 석학들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AI를 활용해 치매 극복을 모색하는 국제학술대회가 열렸습니다.
오선열 기자입니다.
[기자]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가장 두려운 질병으로 꼽히는 '치매'.
국내 65세 인구 가운데 치매 발병률은 11%로, 치매 환자가 100만 명을 넘었습니다.
[조성희 / 아시아치매재단 이사장 : 치매는 이제 더는 개인과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국가와 사회가 가장 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었습니다.]
국내·외 최고 임상의와 산업계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치매 예측 기술과 치료제 실용화 방안 등을 논의하는 국제학술대회가 광주에서 열렸습니다.
[아딜 마르디노글루 / 런던 왕립대학교 교수 : 알츠하이머병 분야의 최근 동향, 최신 과학기술을 들을 수 있어서 기쁩니다. 알츠하이머병 진단의 진척 과정에 대해 새롭게 알 수 있고, 흥미롭습니다.]
미국 바이오 클러스터 핵심 대학인 보스턴대학교는 70년 넘게 지역민의 건강 상태를 추적·관찰한 연구 성과도 내놨습니다.
인종과 환경별로 다양한 자료 공유는 동·서양 치매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전경아 / 미국 보스턴대학교 교수 : 다인종 간의 가치 분석을 하고 데이터를 보고 연구하는 거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더 많이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치매 코호트를 구축한 광주 실증 연구단은 세계 최초로 노인성 뇌 질환을 진단하는 'AI 닥터'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치매를 예측하는 성공률을 높이고, 상용화를 위해 임상 시험 기간을 단축하는 게 목표입니다.
[이건호 / 광주 치매 코호트 연구단장 : 여전히 우리는 치매의 조기 예측 또 예방 기술 개발을 하는 데 모든 힘을 쏟고 또 거기에 대한 소통과 기술 개발을 이루어나갈 것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AI 시대에 맞춰 새로운 첨단 의료 기술이 빠르게 개발되면서 치매를 극복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YTN 오선열입니다.
YTN 오선열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국내 치매 발병률도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국내·외 석학들이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AI를 활용해 치매 극복을 모색하는 국제학술대회가 열렸습니다.
오선열 기자입니다.
[기자]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하면서 가장 두려운 질병으로 꼽히는 '치매'.
국내 65세 인구 가운데 치매 발병률은 11%로, 치매 환자가 100만 명을 넘었습니다.
[조성희 / 아시아치매재단 이사장 : 치매는 이제 더는 개인과 가족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국가와 사회가 가장 우선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었습니다.]
국내·외 최고 임상의와 산업계 전문가 등 200여 명이 치매 예측 기술과 치료제 실용화 방안 등을 논의하는 국제학술대회가 광주에서 열렸습니다.
[아딜 마르디노글루 / 런던 왕립대학교 교수 : 알츠하이머병 분야의 최근 동향, 최신 과학기술을 들을 수 있어서 기쁩니다. 알츠하이머병 진단의 진척 과정에 대해 새롭게 알 수 있고, 흥미롭습니다.]
미국 바이오 클러스터 핵심 대학인 보스턴대학교는 70년 넘게 지역민의 건강 상태를 추적·관찰한 연구 성과도 내놨습니다.
인종과 환경별로 다양한 자료 공유는 동·서양 치매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전경아 / 미국 보스턴대학교 교수 : 다인종 간의 가치 분석을 하고 데이터를 보고 연구하는 거는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앞으로 더 많이 발전시켜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치매 코호트를 구축한 광주 실증 연구단은 세계 최초로 노인성 뇌 질환을 진단하는 'AI 닥터'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치매를 예측하는 성공률을 높이고, 상용화를 위해 임상 시험 기간을 단축하는 게 목표입니다.
[이건호 / 광주 치매 코호트 연구단장 : 여전히 우리는 치매의 조기 예측 또 예방 기술 개발을 하는 데 모든 힘을 쏟고 또 거기에 대한 소통과 기술 개발을 이루어나갈 것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AI 시대에 맞춰 새로운 첨단 의료 기술이 빠르게 개발되면서 치매를 극복하기 위한 인류의 노력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YTN 오선열입니다.
YTN 오선열 (dh0226@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