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정지웅 앵커, 이세나 앵커
■ 출연 :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명예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번에는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님 다시 연결해서 사고에 대해서 좀 조언을 들어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저희가 목격자의 말도 들어봤고 그리고 기자가 현장에서 나가서 본 상황들도 전해 들었는데 교수님께서 파악하고 계신 지금까지 사고상황을 전해 주시죠.
[조원철]
교량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교각을 먼저 세우고 그다음에 교각 위에 빔을 가로로, 수평으로 놓는 빔을 걸치게 되어 있습니다. 걸치고 그 위에다가 슬라브를 치고 차가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건데 현재 단계는 교각은 완성됐고 그 위에 빔을 걸치는 과정에서 빔을 걸치기 위해서 임시로 철제 트러스 시설물이 길게 움직이면서 설치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설치되는 데서 힘의 불균형이 생겨서 그 빔 자체가 무너져버렸어요. 빔 자체가 무너지는 상태였기 때문에 빔이 무너지면 교각에도 영향을 수평하중을 주기 때문에 교각에 손상을 많이 줄 걸로 예상되고 그다음에 빔 위에서 일하시던 근로자들이 높은 데서, 교각이 상당히 높거든요. 높은 데서 떨어지기 때문에 중상을 입거나 또는 사망하시는 경우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앵커]
조금 전에 저희가 사고 현장에 이상곤 기자 연결해서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드렸는데 혹시 보셨을까요?
[조원철]
봤습니다.
[앵커]
그 상황을 딱 봤을 때 통제가 잘 되고 있는 것 같습니까? 아니면 그렇지 않습니까?
[조원철]
지금은 완전히 여러 가지 교통표지판들 세워놓고 잘하는 것 같아요.
[앵커]
그런데 기자한테 물어봤을 때 현장에 차량 같은 거는 못 들어가지만 사람이나 걸어서 지나갈 수는 있다고 말을 해서 그런 부분이 우려됐거든요. 어떻게 보세요?
[조원철]
사람이 지나갈 수 있다고 하면 아직도 위험한 상태인데. 왜냐하면 많은 구조물들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보행하기가 쉽지 않거든요. 들어가서는 안 되죠. 그걸 통제해야 하는데 거기까지 인력이 미치지 않은, 그렇지는 않을 텐데. 소방이 그만큼 갔으면 그 정도는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마는.
[앵커]
다리를 받치는 교각이 먼저 설치됐고 그 뒤에 연결하는 구조물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사고 당시 화면을 보면 위에 있던 상판이라고 해야 할까요. 위에 있는 구조물이 정말 종잇장처럼 V자로 무너지는 걸 볼 수 있거든요. 이 부분은 어떤 재질로 이루어진 그런 구조물인가요?
[조원철]
상판이 아니고 철재입니다. 철재로 되어 있는 트러스로 임시가시설물입니다. 뭘 하기 위한 임시시설물이냐면 교각 위에 얹어놓을 빔을 쭉 밀어서 육상에서부터 밀어서 설치하는 임시시설물이거든요. 그런데 그 임시시설물이 힘의 균형을 잃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떨어질 때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서는 V자처럼 나타나죠. 그렇게 양쪽에서 V자 2개가 나타나버렸는데 굉장히 아쉬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앵커]
임시시설물이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그러니까 나중에 다리가 다 완성됐을 때 상판은 아닌 거잖아요.
[조원철]
상판이 아닙니다.
[앵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렇게 V자로 무너져내리지 않게 조금 더 튼튼하게 제작을 해야 되는 거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조원철]
당연히 그렇죠. 임시시설물은 다 든든하게 제작을 하는데 그 임시시설물에 얹혀질 빔하고 힘의 균형이 안 맞으면 이런 일이 벌어
질 수 있죠.
[앵커]
힘의 균형이 잘 안 맞아서 붕괴가 된 것일 거라는 추정을 해 주셨는데 힘의 균형을 잘 맞추기 위해서 공사현장에서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나요?
[조원철]
예를 들면 기자님들이 양쪽 팔을 쭉 펼치고 한쪽 다리를 들고 한발로 서 있어 보세요. 서 있어서 고개를, 머리를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한쪽으로 기울이면 그쪽으로 넘어지거든요. 그게 힘의 균형입니다. 불균형이거든요. 그러면 머리를 가운데 반듯하게 하고 팔을 양쪽으로 균형 있게 세우면 안 넘어지잖아요, 한 발로 서 있더라도. 그리고 한쪽 손에다가 어떤 물건 무거운 걸 들면 또 그쪽으로 넘어진다고요. 마찬가지로 임시시설물을 가운데부터 설치해서 힘의 균형을 맞춰야 되는데. 사진상 나타난 것으로 보면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한쪽으로 먼저 시설을 한 것 같아요. 그래서 불균형이 생긴 게 아니냐 그렇게 추정됩니다.
[앵커]
다리 붕괴사고가 지금처럼 고가에서 발생했을 때 그러면 사고 뒤에 수습절차는 어떻게 됩니까?
[조원철]
수습절차는 우선 근로자들을 빨리 수습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거고. 그다음에는 남아 있는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해야죠. 안전진단을 해서 교각이 안전한지, 안 한지도 조사해서 만약에 문제가 있다면 교각을 전부 철거하고 새롭게 교각을 만들어서 그 위에다 빔을 걸치고 그다음에 슬라브를 치고 아스팔트 포장을 하고 차가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거죠
[앵커]
이런 사고가 자주 있지는 않을 텐데요. 어떻습니까?
[조원철]
있어서는 안 되고 그러나 건설공사라고 하는 것은 실험실이나 실내에서 하는 작업과는 달리 자연을 상대로 하는 거거든요.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날씨의 변화를 굉장히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추위라든지 눈이라든지 비라든지 특히 고소작업, 높은 데서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걸 반드시 고려해서 작업 진행을 해야 되죠. 현장소장하고 감리단장이 그런 것을 다 고려해서 했을 겁니다. 그래도 예상치 못했던 날씨 변화가 있을 수 있어요. 특히 바람 같은 것. 그리고 계곡형이거든요. 계곡을 지나가는 높은 교량이기 때문에 여기에는 우리가 생각지 못했던 강한 바람이 옆으로 불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중요한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앵커]
교수님이 보셨을 때 어제, 오늘의 날씨를 그리고 화면에서 봤을 때 날씨를 고려했을 때 날씨적인 문제가 있었다고 보십니까?
[조원철]
날씨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안에 있는 관리자들, 작업자들이 만반의 준비를 했겠지만 혹시 모를 사고를 대비해서 이루어져 있는 안전장치라든지 이런 부분은 어떤 게 있는지 알려주시죠.
[조원철]
높은 데 작업하는 분들은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서 전부 안전고리를 다 걸게 돼 있어요. 안전고리를 걸어서 밑에 발받침이 없어지더라도 공중에 달려서 생존하는 데는 문제가 없도록 그렇게 해야 하는데 이게 불편하거든요. 안전고리를 달아서 다닌다는 게. 불편해서 작업자들이 안 하는, 그걸 해제해버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 건설현장이라든지. 그리고 이런 고소작업에서도, 이것은 한번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확인하는 방법이 근로자들을 하나하나 점검해 보면 어떠한 장비를 가지고 고소작업에 올라갔는지 점검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앵커]
안전고리라고 말씀해 주신 게 높은 곳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이 혹시 떨어질 수 있으니까 거는 고리를 말씀하시는 거죠?
[조원철]
거는 고리가 있어서 공중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죠. 그렇게 하면 다치지는 않고 조금 다친다 하더라도 생명에는 큰 지장은 없거든요.
[앵커]
교수님, 그러면 지금 임시시설물이 이렇게 붕괴가 된 건데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 구조물에 와이어라든지 지탱해 줄 수 있는 그런 보조장치 같은 건 없는 건가요?
[조원철]
다 있죠. 다 있습니다. 임시시설물이 철제 트러스 시설물이 들어가기 위해서는 그게 임시라고 제가 표현을 했습니다마는 굉장히 튼튼한 중량물입니다. 중량물이고 길이가 이 정도면 200m 이상 정도 되는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굉장히 큰 시설물인데. 결과는 이런 일이 벌어졌습니다. 그래서 안타깝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경기 안성시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 사고 관련해서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와 함께 얘기 나눠봤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조원철]
수고하세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명예교수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이번에는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님 다시 연결해서 사고에 대해서 좀 조언을 들어보겠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십니까? 저희가 목격자의 말도 들어봤고 그리고 기자가 현장에서 나가서 본 상황들도 전해 들었는데 교수님께서 파악하고 계신 지금까지 사고상황을 전해 주시죠.
[조원철]
교량 공사를 하기 위해서는 교각을 먼저 세우고 그다음에 교각 위에 빔을 가로로, 수평으로 놓는 빔을 걸치게 되어 있습니다. 걸치고 그 위에다가 슬라브를 치고 차가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건데 현재 단계는 교각은 완성됐고 그 위에 빔을 걸치는 과정에서 빔을 걸치기 위해서 임시로 철제 트러스 시설물이 길게 움직이면서 설치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설치되는 데서 힘의 불균형이 생겨서 그 빔 자체가 무너져버렸어요. 빔 자체가 무너지는 상태였기 때문에 빔이 무너지면 교각에도 영향을 수평하중을 주기 때문에 교각에 손상을 많이 줄 걸로 예상되고 그다음에 빔 위에서 일하시던 근로자들이 높은 데서, 교각이 상당히 높거든요. 높은 데서 떨어지기 때문에 중상을 입거나 또는 사망하시는 경우가 발생한 것 같습니다.
[앵커]
조금 전에 저희가 사고 현장에 이상곤 기자 연결해서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보여드렸는데 혹시 보셨을까요?
[조원철]
봤습니다.
[앵커]
그 상황을 딱 봤을 때 통제가 잘 되고 있는 것 같습니까? 아니면 그렇지 않습니까?
[조원철]
지금은 완전히 여러 가지 교통표지판들 세워놓고 잘하는 것 같아요.
[앵커]
그런데 기자한테 물어봤을 때 현장에 차량 같은 거는 못 들어가지만 사람이나 걸어서 지나갈 수는 있다고 말을 해서 그런 부분이 우려됐거든요. 어떻게 보세요?
[조원철]
사람이 지나갈 수 있다고 하면 아직도 위험한 상태인데. 왜냐하면 많은 구조물들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보행하기가 쉽지 않거든요. 들어가서는 안 되죠. 그걸 통제해야 하는데 거기까지 인력이 미치지 않은, 그렇지는 않을 텐데. 소방이 그만큼 갔으면 그 정도는 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있습니다마는.
[앵커]
다리를 받치는 교각이 먼저 설치됐고 그 뒤에 연결하는 구조물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사고 당시 화면을 보면 위에 있던 상판이라고 해야 할까요. 위에 있는 구조물이 정말 종잇장처럼 V자로 무너지는 걸 볼 수 있거든요. 이 부분은 어떤 재질로 이루어진 그런 구조물인가요?
[조원철]
상판이 아니고 철재입니다. 철재로 되어 있는 트러스로 임시가시설물입니다. 뭘 하기 위한 임시시설물이냐면 교각 위에 얹어놓을 빔을 쭉 밀어서 육상에서부터 밀어서 설치하는 임시시설물이거든요. 그런데 그 임시시설물이 힘의 균형을 잃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떨어질 때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서는 V자처럼 나타나죠. 그렇게 양쪽에서 V자 2개가 나타나버렸는데 굉장히 아쉬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앵커]
임시시설물이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그러니까 나중에 다리가 다 완성됐을 때 상판은 아닌 거잖아요.
[조원철]
상판이 아닙니다.
[앵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렇게 V자로 무너져내리지 않게 조금 더 튼튼하게 제작을 해야 되는 거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거든요.
[조원철]
당연히 그렇죠. 임시시설물은 다 든든하게 제작을 하는데 그 임시시설물에 얹혀질 빔하고 힘의 균형이 안 맞으면 이런 일이 벌어
질 수 있죠.
[앵커]
힘의 균형이 잘 안 맞아서 붕괴가 된 것일 거라는 추정을 해 주셨는데 힘의 균형을 잘 맞추기 위해서 공사현장에서 어떤 부분에 중점을 두나요?
[조원철]
예를 들면 기자님들이 양쪽 팔을 쭉 펼치고 한쪽 다리를 들고 한발로 서 있어 보세요. 서 있어서 고개를, 머리를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한쪽으로 기울이면 그쪽으로 넘어지거든요. 그게 힘의 균형입니다. 불균형이거든요. 그러면 머리를 가운데 반듯하게 하고 팔을 양쪽으로 균형 있게 세우면 안 넘어지잖아요, 한 발로 서 있더라도. 그리고 한쪽 손에다가 어떤 물건 무거운 걸 들면 또 그쪽으로 넘어진다고요. 마찬가지로 임시시설물을 가운데부터 설치해서 힘의 균형을 맞춰야 되는데. 사진상 나타난 것으로 보면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한쪽으로 먼저 시설을 한 것 같아요. 그래서 불균형이 생긴 게 아니냐 그렇게 추정됩니다.
[앵커]
다리 붕괴사고가 지금처럼 고가에서 발생했을 때 그러면 사고 뒤에 수습절차는 어떻게 됩니까?
[조원철]
수습절차는 우선 근로자들을 빨리 수습하는 것이 제일 중요한 거고. 그다음에는 남아 있는 시설물의 안전진단을 해야죠. 안전진단을 해서 교각이 안전한지, 안 한지도 조사해서 만약에 문제가 있다면 교각을 전부 철거하고 새롭게 교각을 만들어서 그 위에다 빔을 걸치고 그다음에 슬라브를 치고 아스팔트 포장을 하고 차가 다닐 수 있도록 하는 거죠
[앵커]
이런 사고가 자주 있지는 않을 텐데요. 어떻습니까?
[조원철]
있어서는 안 되고 그러나 건설공사라고 하는 것은 실험실이나 실내에서 하는 작업과는 달리 자연을 상대로 하는 거거든요. 자연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날씨의 변화를 굉장히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추위라든지 눈이라든지 비라든지 특히 고소작업, 높은 데서는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걸 반드시 고려해서 작업 진행을 해야 되죠. 현장소장하고 감리단장이 그런 것을 다 고려해서 했을 겁니다. 그래도 예상치 못했던 날씨 변화가 있을 수 있어요. 특히 바람 같은 것. 그리고 계곡형이거든요. 계곡을 지나가는 높은 교량이기 때문에 여기에는 우리가 생각지 못했던 강한 바람이 옆으로 불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중요한 원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앵커]
교수님이 보셨을 때 어제, 오늘의 날씨를 그리고 화면에서 봤을 때 날씨를 고려했을 때 날씨적인 문제가 있었다고 보십니까?
[조원철]
날씨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앵커]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대로 안에 있는 관리자들, 작업자들이 만반의 준비를 했겠지만 혹시 모를 사고를 대비해서 이루어져 있는 안전장치라든지 이런 부분은 어떤 게 있는지 알려주시죠.
[조원철]
높은 데 작업하는 분들은 만약의 경우를 대비해서 전부 안전고리를 다 걸게 돼 있어요. 안전고리를 걸어서 밑에 발받침이 없어지더라도 공중에 달려서 생존하는 데는 문제가 없도록 그렇게 해야 하는데 이게 불편하거든요. 안전고리를 달아서 다닌다는 게. 불편해서 작업자들이 안 하는, 그걸 해제해버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특히 아파트 건설현장이라든지. 그리고 이런 고소작업에서도, 이것은 한번 확인해 봐야겠습니다. 확인하는 방법이 근로자들을 하나하나 점검해 보면 어떠한 장비를 가지고 고소작업에 올라갔는지 점검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앵커]
안전고리라고 말씀해 주신 게 높은 곳에서 일하는 작업자들이 혹시 떨어질 수 있으니까 거는 고리를 말씀하시는 거죠?
[조원철]
거는 고리가 있어서 공중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죠. 그렇게 하면 다치지는 않고 조금 다친다 하더라도 생명에는 큰 지장은 없거든요.
[앵커]
교수님, 그러면 지금 임시시설물이 이렇게 붕괴가 된 건데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서 구조물에 와이어라든지 지탱해 줄 수 있는 그런 보조장치 같은 건 없는 건가요?
[조원철]
다 있죠. 다 있습니다. 임시시설물이 철제 트러스 시설물이 들어가기 위해서는 그게 임시라고 제가 표현을 했습니다마는 굉장히 튼튼한 중량물입니다. 중량물이고 길이가 이 정도면 200m 이상 정도 되는 길이를 갖고 있기 때문에 굉장히 큰 시설물인데. 결과는 이런 일이 벌어졌습니다. 그래서 안타깝습니다.
[앵커]
알겠습니다. 경기 안성시 고속도로 공사장 붕괴 사고 관련해서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와 함께 얘기 나눠봤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조원철]
수고하세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