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숲이 원인?…"송진·솔방울, 불쏘시개 역할"
도심까지 위협하는 불길에 주민들도 방어 총력
대형 산불에 경북 북·동부권 산림 피해 역대 최대
’화재 취약’ 소나무, 경북에 가장 많아…"불쏘시개"
도심까지 위협하는 불길에 주민들도 방어 총력
대형 산불에 경북 북·동부권 산림 피해 역대 최대
’화재 취약’ 소나무, 경북에 가장 많아…"불쏘시개"
AD
[앵커]
경북 지역을 휩쓸고 있는 산불은 역대 최대 규모의 산림 피해를 낳고 있습니다.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진 원인 중 하나로 강풍과 함께 소나무가 지목되고 있는데요.
경북은 불에 취약한 소나무 등 침엽수림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곳입니다.
오선열 기자입니다.
[기자]
공장 단지와 맞닿은 야산 일부가 검게 그을렸습니다.
소나무 군락에 불이 번지면서 진화 작업이 이어졌고, 흙 속에서 연기가 계속 피어오릅니다.
안동 도심과 3km 떨어진 야산입니다.
바람을 타고 소나무 군락까지 옮겨붙은 불은 안동 시내 방향으로 확산하면서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
도심 주민들도 산불 확산 소식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큰 나무들은 베어내고, 땅이 마를 새 없이 물을 뿌리며 산불 방어에 나섰습니다.
[김병찬 / 경북 안동 주민 : 우리가 지금 3일째, 밤에도 물 뿌리고 있고 근처 나무도 베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나무가 워낙 높으니까 불이 건너뛸까 봐….]
경북 북·동부권에 퍼진 산불 영향 구역은 서울 절반 면적인 3만ha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산불은 동해안까지 확산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소나무 등 침엽수 비중이 높은 산림 형태가 강풍과 함께 산불을 키운 요인으로 꼽힙니다.
특히, 경북 지역은 전국에서 소나무 숲이 가장 많은 만큼 송진과 솔방울이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병두 / 국립산림과학원 환경연구부장 : 소나무가 송진을 가지고 있고, 송진 때문에 불이 잘 붙은 것은 사실입니다. 마을 주변 아니면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데 바로 옆에 소나무숲이 빽빽하게 있는 경우는 그런 곳에서 솎아베기를 해줘야 합니다.]
황폐한 산림을 복원하기 위해 대량 식재된 소나무가 화재의 취약점으로 작용하는 만큼, 산불 위험이 큰 지역은 수종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YTN 오선열입니다.
촬영기자 : 이규
YTN 오선열 (ohsy5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북 지역을 휩쓸고 있는 산불은 역대 최대 규모의 산림 피해를 낳고 있습니다.
산불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진 원인 중 하나로 강풍과 함께 소나무가 지목되고 있는데요.
경북은 불에 취약한 소나무 등 침엽수림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곳입니다.
오선열 기자입니다.
[기자]
공장 단지와 맞닿은 야산 일부가 검게 그을렸습니다.
소나무 군락에 불이 번지면서 진화 작업이 이어졌고, 흙 속에서 연기가 계속 피어오릅니다.
안동 도심과 3km 떨어진 야산입니다.
바람을 타고 소나무 군락까지 옮겨붙은 불은 안동 시내 방향으로 확산하면서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
도심 주민들도 산불 확산 소식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큰 나무들은 베어내고, 땅이 마를 새 없이 물을 뿌리며 산불 방어에 나섰습니다.
[김병찬 / 경북 안동 주민 : 우리가 지금 3일째, 밤에도 물 뿌리고 있고 근처 나무도 베고 있습니다. 혹시라도 나무가 워낙 높으니까 불이 건너뛸까 봐….]
경북 북·동부권에 퍼진 산불 영향 구역은 서울 절반 면적인 3만ha 훌쩍 뛰어넘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산불은 동해안까지 확산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소나무 등 침엽수 비중이 높은 산림 형태가 강풍과 함께 산불을 키운 요인으로 꼽힙니다.
특히, 경북 지역은 전국에서 소나무 숲이 가장 많은 만큼 송진과 솔방울이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이병두 / 국립산림과학원 환경연구부장 : 소나무가 송진을 가지고 있고, 송진 때문에 불이 잘 붙은 것은 사실입니다. 마을 주변 아니면 원자력 발전소가 있는데 바로 옆에 소나무숲이 빽빽하게 있는 경우는 그런 곳에서 솎아베기를 해줘야 합니다.]
황폐한 산림을 복원하기 위해 대량 식재된 소나무가 화재의 취약점으로 작용하는 만큼, 산불 위험이 큰 지역은 수종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YTN 오선열입니다.
촬영기자 : 이규
YTN 오선열 (ohsy55@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