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조립식 주택 설치…이재민 임시 주거 지원
산불 피해 ’사상 최악’…48,238ha·6,452곳 불타
경북, 이재민 임시주택·대피시설 확보 비상
산불 피해 ’사상 최악’…48,238ha·6,452곳 불타
경북, 이재민 임시주택·대피시설 확보 비상
AD
[앵커]
전국 동시다발 산불이 모두 완진되면서 정부는 본격적인 피해 복구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하루빨리 이재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범정부 역량을 집중할 계획입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북 안동의 한 유원지에 조립식 주택들이 들어섭니다.
약 10평 규모로,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을 위한 임시 숙소로 쓰일 예정입니다.
일주일 넘게 타오른 전국 11개 지역 산불이 남긴 남긴 피해 면적만 4만8천여ha.
주택 등 시설물 피해만 6천 곳 이상으로 정부는 이제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놓고 범정부 지원 역량을 모으겠다고 밝혔습니다.
피해가 컸던 경북 등을 중심으로 우선 이재민들이 체육관 생활을 면할 수 있도록 임시주택과 대피시설을 확보하고,
이재민 의약품 지급과 24시간 건강모니터링 등 의료지원과 트라우마 치료를 위한 심리치료를 강화합니다.
산불 피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겐 융자와 보증, 경영자금을, 농업인에겐 농기계 무상 지원을 진행합니다.
[이한경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 : 이재민 일상 회복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행정적, 재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더불어 산불 피해가 컸던 의성과 안동, 산청, 하동 등에서 현장점검반 활동을 강화해,
생업에 필요한 전기, 수도, 통신 등 필수 기반시설을 신속하게 복구할 계획입니다.
YTN 김현아입니다.
영상편집; 이영훈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전국 동시다발 산불이 모두 완진되면서 정부는 본격적인 피해 복구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하루빨리 이재민들의 일상 회복을 위해 범정부 역량을 집중할 계획입니다.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경북 안동의 한 유원지에 조립식 주택들이 들어섭니다.
약 10평 규모로, 대형 산불로 삶의 터전을 잃은 이재민들을 위한 임시 숙소로 쓰일 예정입니다.
일주일 넘게 타오른 전국 11개 지역 산불이 남긴 남긴 피해 면적만 4만8천여ha.
주택 등 시설물 피해만 6천 곳 이상으로 정부는 이제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을 최우선 과제로 놓고 범정부 지원 역량을 모으겠다고 밝혔습니다.
피해가 컸던 경북 등을 중심으로 우선 이재민들이 체육관 생활을 면할 수 있도록 임시주택과 대피시설을 확보하고,
이재민 의약품 지급과 24시간 건강모니터링 등 의료지원과 트라우마 치료를 위한 심리치료를 강화합니다.
산불 피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겐 융자와 보증, 경영자금을, 농업인에겐 농기계 무상 지원을 진행합니다.
[이한경 /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차장 : 이재민 일상 회복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행정적, 재정적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더불어 산불 피해가 컸던 의성과 안동, 산청, 하동 등에서 현장점검반 활동을 강화해,
생업에 필요한 전기, 수도, 통신 등 필수 기반시설을 신속하게 복구할 계획입니다.
YTN 김현아입니다.
영상편집; 이영훈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