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시의 2024 서울서베이 자료를 보면, 시민 5천 명에게 노인 기준을 물은 결과 평균 70.2세였고,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에 찬성하는 응답은 87.8%였습니다.
적정 은퇴 시기로는 40% 이상이 65∼69세를 꼽았고,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로는 과반이 250만 원 이상을 생각했습니다.
설문에 응답한 가구의 40% 이상은 1인 가구로, 이 중 60세 이상 1인 가구가 40.6%로 가장 많고, 전체의 20%는 반려동물과 살았습니다.
서울 주민의 절반 가까이는 통근이나 통학에 평균 30분에서 1시간 미만을 소요했고, 통근·통학 만족도는 6.57점으로 6년 연속 상승했습니다.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해서는 중간이라는 응답자가 72%였고, 24.6%는 '하'라고 했으며, 3.4%만이 '상'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67.8%로 2년 연속 상승했습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적정 은퇴 시기로는 40% 이상이 65∼69세를 꼽았고,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로는 과반이 250만 원 이상을 생각했습니다.
설문에 응답한 가구의 40% 이상은 1인 가구로, 이 중 60세 이상 1인 가구가 40.6%로 가장 많고, 전체의 20%는 반려동물과 살았습니다.
서울 주민의 절반 가까이는 통근이나 통학에 평균 30분에서 1시간 미만을 소요했고, 통근·통학 만족도는 6.57점으로 6년 연속 상승했습니다.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해서는 중간이라는 응답자가 72%였고, 24.6%는 '하'라고 했으며, 3.4%만이 '상'이라고 답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10년 후에도 서울에 거주하고 싶다는 응답은 67.8%로 2년 연속 상승했습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