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난해 9월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공사장 근처에서 난 대형 땅 꺼짐 사고에 대한 감사에서 부실한 시공과 감독 등 위법 사항이 적발됐습니다.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자격 없는 업체가 낸 물막이 성능 보고서를 시공사가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굴착을 진행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공사 주체인 부산교통공사가 지도 점검을 소홀히 한 사실과 추가 예산 확보 문제로 공사 진행에서 나온 문제점을 보고하지 않은 사실 등도 적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행정 조치 10건과 신분 조치 33건, 설계 변경 감액 11억여 원을 부산교통공사에 요구했습니다.
앞서 부산시는 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꾸려 조사한 결과 설계와 시공에는 문제가 없는 거로 확인했지만 폭우 등 급변하는 기상 상황이 반영되지 않은 현행 설계와 시공 기준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으로 사고 원인을 발표했습니다.
YTN 김종호 (ho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부산시 감사위원회는 자격 없는 업체가 낸 물막이 성능 보고서를 시공사가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굴착을 진행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공사 주체인 부산교통공사가 지도 점검을 소홀히 한 사실과 추가 예산 확보 문제로 공사 진행에서 나온 문제점을 보고하지 않은 사실 등도 적발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에 따라 감사위원회는 행정 조치 10건과 신분 조치 33건, 설계 변경 감액 11억여 원을 부산교통공사에 요구했습니다.
앞서 부산시는 지하사고조사위원회를 꾸려 조사한 결과 설계와 시공에는 문제가 없는 거로 확인했지만 폭우 등 급변하는 기상 상황이 반영되지 않은 현행 설계와 시공 기준에 문제가 있다는 내용으로 사고 원인을 발표했습니다.
YTN 김종호 (hokim@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