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서울시가 도보 30분 거리 안에서 일상의 모든 기능을 누릴 수 있는 '서울형 보행 일상권' 조성을 위한 시범사업에 착수합니다.
대상지는 종로구 평창·부암동과 성동구 금호·옥수동, 동대문구 청량리동과 영등포구 신길동 등 8곳으로, 시는 9월까지 보행 일상권 내 필수 시설 확충과 접근성 향상 방안 등을 담은 보행 일상권 조성 계획 기준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보행 일상권은 2022년 3월 서울시가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 주거지 근처에서 업무와 생활 편의, 여가, 돌봄, 학습과 공공서비스 등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합니다.
시는 이번 시범사업이 서울형 보행 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차례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상지는 종로구 평창·부암동과 성동구 금호·옥수동, 동대문구 청량리동과 영등포구 신길동 등 8곳으로, 시는 9월까지 보행 일상권 내 필수 시설 확충과 접근성 향상 방안 등을 담은 보행 일상권 조성 계획 기준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보행 일상권은 2022년 3월 서울시가 발표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 주거지 근처에서 업무와 생활 편의, 여가, 돌봄, 학습과 공공서비스 등을 누릴 수 있는 자족적 생활권을 의미합니다.
시는 이번 시범사업이 서울형 보행 일상권을 전면 도입하기에 앞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라며 "서울 전역에 100개 이상의 '작지만 강한' 자족형 생활권을 차례로 조성해 시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습니다.
YTN 김현아 (kimhaha@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