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최근 3년간 경기도 내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계절용 기기 화재 원인 가운데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이 에어컨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 아파트,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 3천621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공동주택 화재의 68%(2천454건)는 주방기기(808건), 계절용기기(579건), 배선기구(278건) 등 대부분 전기기기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이 중 계절용 기기에서 비롯된 화재 579건을 살펴보면 에어컨이 33.2%(192건)로 가장 큰 원인을 차지했으며 전기장판·담요류 20.9%(121건), 열선 13.8%(80건) 등 순이었습니다.
공동주택 화재의 주요 원인은 부주의(44%·1천609건)와 전기적 요인(37%·1천337건)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절별로는 여름 28%(1천20건), 겨울 26%(948건), 가을 23%(832건), 봄 22%(821건) 순으로 화재가 자주 발생했습니다.
특히 에어컨 화재의 경우 85%(163건)가 여름철에 발생했습니다.
시간대별 공동주택 화재 인명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새벽 시간대 난 화재는 1천건당 24명의 사망자가 발생해, 다른 시간대에 비해 피해 규모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간 아파트 화재 사망자 23명 중 87%에 해당하는 20명이 스프링클러 미설치 건물에서 발생해, 소방시설 설치 여부가 인명 피해 발생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도소방재난본부는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에어컨 사전점검을 실시해 실외기 내부 먼지, 누적된 열, 불량 배선 등 여부를 살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 아파트, 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화재 3천621건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공동주택 화재의 68%(2천454건)는 주방기기(808건), 계절용기기(579건), 배선기구(278건) 등 대부분 전기기기로 인해 발생했습니다.
이 중 계절용 기기에서 비롯된 화재 579건을 살펴보면 에어컨이 33.2%(192건)로 가장 큰 원인을 차지했으며 전기장판·담요류 20.9%(121건), 열선 13.8%(80건) 등 순이었습니다.
공동주택 화재의 주요 원인은 부주의(44%·1천609건)와 전기적 요인(37%·1천337건)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절별로는 여름 28%(1천20건), 겨울 26%(948건), 가을 23%(832건), 봄 22%(821건) 순으로 화재가 자주 발생했습니다.
특히 에어컨 화재의 경우 85%(163건)가 여름철에 발생했습니다.
시간대별 공동주택 화재 인명 피해 현황을 살펴보면 새벽 시간대 난 화재는 1천건당 24명의 사망자가 발생해, 다른 시간대에 비해 피해 규모가 2~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간 아파트 화재 사망자 23명 중 87%에 해당하는 20명이 스프링클러 미설치 건물에서 발생해, 소방시설 설치 여부가 인명 피해 발생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도소방재난본부는 본격적인 여름철을 앞두고 에어컨 사전점검을 실시해 실외기 내부 먼지, 누적된 열, 불량 배선 등 여부를 살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YTN 최명신 (mscho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