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
지난달 영남 지역을 휩쓸었던 초대형 산불, 불이 꺼진 지 한 달가량 지난 지금 현 상황은 어떤지, 또 남아있는 과제는 무엇인지 오늘과 내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재민들은 아직 고통을 호소하고 있고, 산불의 연료가 되는 낙엽 더미 관리도 시급합니다.
먼저, 고한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북 안동시 추목리.
역대 최악의 산불로 생계 기반은 완전히 무너졌습니다.
[서선나 / 경북 안동시 추목리 이재민 : 저희 마을은 전멸입니다. 마을 자체가 다 타버리고 무너지고 없습니다.]
송이버섯 등 자생 임산물은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돼 임업인의 고통도 심합니다.
[김병섭 / 경북 청송군 임업인 : 송이는 자연으로 해서 생산됐기 때문에 보상도 없다고 하는데, 그게 아닙니다. 피와 땀을 흘려야만 송이밭이 이뤄집니다. 한순간에 잿더미로 변했는데….]
현재 산불 이재민 지원은 최소한의 생계 구호와 저리 대출이 전부입니다.
삶의 터전을 잃었지만, 생계비 지원은 한 달 최저임금 수준.
주택 복구 비용도 30%만 지원하고 나머지는 대출입니다.
농업인과 소상공인, 중소기업인이 생업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지원은 없다시피 합니다.
이 같은 문제점은 한두 해 일이 아니어서 산불이 일어날 때마다, 지원을 강화하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무관심 속에 전부 폐기됐습니다.
[강덕재 / 경북 청송군 이재민 : 80∼90대 분들이 그냥 맨 시멘트 바닥에 아직도 은박지 하나 깔고 지내거든요. 국회의원, 시장님, 도지사 오고 가시면 뭐합니까. 하나도 시정이 안 되는데….]
산 중에 깊이 쌓인 낙엽 더미는 산불의 연료가 되고, 다닥다닥 붙은 나무들은 산불 확산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산림청 중심으로 연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산불 대응 기관이 산림청과 소방청,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분산돼 있어서 예방은 물론이고, 산불 발생 시 빠르고 적절한 대처가 어렵습니다.
[김병식/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교수 : 결국, 중앙부처에서 내려가는 방식의 지원이 되다 보니, 밑에서부터 정보를 모으는 재난 지원 체계가 부족했고, 또, 대피교육이 굉장히 부족했기 때문에….]
기후 위기 속에, 가뭄에 고온건조한 날씨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고 있어서 산불은 앞으로 상시화하고 대형화하게 됩니다.
이재민 지원 방안을 강화하는 것과 함께, 권역별로 산불센터를 설립하고, 산불 전문가를 배치하는 등 대응 체계의 획기적인 변화가 시급합니다.
YTN고한석입니다.
촬영기자 : 이수연
디자인 : 이나은
YTN 고한석 (hsg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달 영남 지역을 휩쓸었던 초대형 산불, 불이 꺼진 지 한 달가량 지난 지금 현 상황은 어떤지, 또 남아있는 과제는 무엇인지 오늘과 내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재민들은 아직 고통을 호소하고 있고, 산불의 연료가 되는 낙엽 더미 관리도 시급합니다.
먼저, 고한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북 안동시 추목리.
역대 최악의 산불로 생계 기반은 완전히 무너졌습니다.
[서선나 / 경북 안동시 추목리 이재민 : 저희 마을은 전멸입니다. 마을 자체가 다 타버리고 무너지고 없습니다.]
송이버섯 등 자생 임산물은 재난지원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돼 임업인의 고통도 심합니다.
[김병섭 / 경북 청송군 임업인 : 송이는 자연으로 해서 생산됐기 때문에 보상도 없다고 하는데, 그게 아닙니다. 피와 땀을 흘려야만 송이밭이 이뤄집니다. 한순간에 잿더미로 변했는데….]
현재 산불 이재민 지원은 최소한의 생계 구호와 저리 대출이 전부입니다.
삶의 터전을 잃었지만, 생계비 지원은 한 달 최저임금 수준.
주택 복구 비용도 30%만 지원하고 나머지는 대출입니다.
농업인과 소상공인, 중소기업인이 생업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돕는 지원은 없다시피 합니다.
이 같은 문제점은 한두 해 일이 아니어서 산불이 일어날 때마다, 지원을 강화하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무관심 속에 전부 폐기됐습니다.
[강덕재 / 경북 청송군 이재민 : 80∼90대 분들이 그냥 맨 시멘트 바닥에 아직도 은박지 하나 깔고 지내거든요. 국회의원, 시장님, 도지사 오고 가시면 뭐합니까. 하나도 시정이 안 되는데….]
산 중에 깊이 쌓인 낙엽 더미는 산불의 연료가 되고, 다닥다닥 붙은 나무들은 산불 확산의 통로가 되기 때문에, 산림청 중심으로 연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산불 대응 기관이 산림청과 소방청, 지방자치단체 등으로 분산돼 있어서 예방은 물론이고, 산불 발생 시 빠르고 적절한 대처가 어렵습니다.
[김병식/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교수 : 결국, 중앙부처에서 내려가는 방식의 지원이 되다 보니, 밑에서부터 정보를 모으는 재난 지원 체계가 부족했고, 또, 대피교육이 굉장히 부족했기 때문에….]
기후 위기 속에, 가뭄에 고온건조한 날씨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고 있어서 산불은 앞으로 상시화하고 대형화하게 됩니다.
이재민 지원 방안을 강화하는 것과 함께, 권역별로 산불센터를 설립하고, 산불 전문가를 배치하는 등 대응 체계의 획기적인 변화가 시급합니다.
YTN고한석입니다.
촬영기자 : 이수연
디자인 : 이나은
YTN 고한석 (hsgo@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