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사각지대' 드러난 학교...교원 보호 대책 시급

'안전 사각지대' 드러난 학교...교원 보호 대책 시급

2025.04.29. 오후 11:0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비상벨 대응 체계…실제 위기 상황에서 도움 안 돼
"비상벨만으로 교원과 학생 안정 보장 못 해"
"학교 폭력 상황 실태 조사부터 먼저 시행 필요"
AD
[앵커]
충북 청주의 고등학교에서 일어난 흉기 난동 사건을 계기로 학교 현장의 교원 보호 대책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당시 학교에는 비상벨이 설치돼 있었지만, 정작 위급 상황에서는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습니다.

이성우 기자입니다.

[기자]
흉기 난동이 벌어진 충북 청주 오송읍의 한 고등학교.

학생이 특수학급 교실에서 완력을 행사한 뒤, 복도에서도 흉기를 휘둘러 이를 제지하던 교장 등 4명이 교내에서 다쳤습니다.

당시 특수학급에는 비상 상황에 대비해 비상벨이 설치돼 있었지만, 제대로 작동되지 않았습니다.

[박경원 / 충북교육청 특수교육팀장 (28일) : 특수학급에는 선생님 책상 밑에 비상벨이 있는데요. 보통 이제 상담 같은 걸 하다 보면 선생님이 책상에 앉아 있거나 그런 게 아니다 보니까….]

위험을 알리는 비상벨을 통한 대응 체계가 실제 위기 상황에서는 도움이 되지 못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겁니다.

교육계에서도 비상벨 같은 긴급 대응 체계만으로는 위기 상황에 즉각 대응하기 어려워 교원과 학생의 안전을 충분히 보장할 수 없다고 지적합니다.

경찰이 개입할 만한 위급 상황에 대해서도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이뤄질 수 있는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조현경 / 전교조 충북지부 정책실장 : 학생이 흉기를 들고 다가올 때 비상벨을 누르면 누가 달려올 거이며 어떻게 제지할 것입니까? 도 교육청은 이런 보여주기식 대책 말고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으십시오.]

특히 교육계는 일선 학교 교육활동 중 발생하는 폭력 상황에 대한 실태 조사부터 먼저 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많은 학교에서 교사가 학생 지도 과정에서 위험한 상황에 노출돼 있지만, 대부분 알려지지 않고 있다는 겁니다.

[김민영 / 전교조 충북지부장 : 폭력 사태로 위험성이 표출된 학교가 극히 일부 사례인 만큼,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여러 학교의 상황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위기 상황에서 학교 현장 대응이 한계가 있다는 점이 드러난 만큼, 교권과 학생 안전을 강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에 고민이 시급해 보입니다.

YTN 이성우입니다.

영상기자: 원인식


YTN 이성우 (gentlelee@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