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경기지역 개별공시지가가 지난해보다 평균 2.93% 상승해 전국 평균인 2.72%를 웃돌았고, 특히 용인시 처인구는 반도체 산업단지 개발 영향으로 4.62%의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경기도는 올해 1월 1일 기준 도내 488만 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를 결정·공시했는데, 도가 서울 4.02%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오산시는 세교1·2지구에 이은 3지구 개발사업 등으로 4.31%, 광명시는 광명뉴타운과 3기 신도시 조성 영향으로 4.07% 각각 상승했습니다.
반면 동두천시(0.69%), 연천군(0.90%), 양평군(1.34%) 등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개발 요인 부족으로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도내에서 땅값이 가장 비싼 곳은 성남시 분당구 현대백화점 판교점 부지로 1㎡당 3천4만 원이었고,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산 267 임야가 1㎡당 553원으로 가장 쌌습니다.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경기도는 올해 1월 1일 기준 도내 488만 필지에 대한 개별공시지가를 결정·공시했는데, 도가 서울 4.02%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오산시는 세교1·2지구에 이은 3지구 개발사업 등으로 4.31%, 광명시는 광명뉴타운과 3기 신도시 조성 영향으로 4.07% 각각 상승했습니다.
반면 동두천시(0.69%), 연천군(0.90%), 양평군(1.34%) 등은 부동산 경기 침체와 개발 요인 부족으로 낮은 상승률을 나타냈습니다.
도내에서 땅값이 가장 비싼 곳은 성남시 분당구 현대백화점 판교점 부지로 1㎡당 3천4만 원이었고, 포천시 신북면 삼정리 산 267 임야가 1㎡당 553원으로 가장 쌌습니다.
YTN 최기성 (choiks7@ytn.co.kr)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