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앵커멘트]
한국과 미국의 연합군사훈련이 오늘 종료될 예정된 가운데 다이빙궈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이 오늘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의 회의적인 반응 속에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중국의 중재외교가 계속되고 있어 중국의 의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태환 세종연구소 연구위원과 함께 북한의 연평도 도발 이후 중국의 움직임 등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1]
당초 왕자루이 당 대외연락부장이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는데,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북한을 방문하는 것에 어떤 의미를 둘 수 있을까요?
[질문2]
최태복 북한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베이징을 방문 중인데, 다이빙궈가 방북하는 것을 보면 최 의장의 방중은 이번 사태 해결과는 큰 관련이 없다고 봐도 될까요?
[질문3]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북한에서 가서 협의할 내용은 역시 6자회담 재개 문제겠지요?
[질문4]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방중기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면담할 것으로 봐야겠지요?
[질문5]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는 중국이 유일하다는 관측이 많은데, 중국 사람들은 중국이 북한에 압력을 넣을 수 있는 영향력이 없다고 말합니다.
어느 쪽이 맞는 말인가요?
[질문6]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중국은 천안함 사건 때와 비슷하게 움직이면서도 다이빙궈가 남북한을 잇따라 방문하는 등, 다른 부분도 눈에 띕니다.
박사님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7]
중국은 한반도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남북 양측에 냉정과 자제를 촉구하는 일관된 자세를 보이고 있는데,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국가이익과도 관련이 있다고 봐야겠죠?
[질문8]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지난 휴일 이명박 대통령을 면담하면서 한중 간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했는데,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9]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한국과 중국 관계가 멀어지는 양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국에 대한 외교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국과 미국의 연합군사훈련이 오늘 종료될 예정된 가운데 다이빙궈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이 오늘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의 회의적인 반응 속에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중국의 중재외교가 계속되고 있어 중국의 의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태환 세종연구소 연구위원과 함께 북한의 연평도 도발 이후 중국의 움직임 등 한반도 주변 정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문1]
당초 왕자루이 당 대외연락부장이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는데,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북한을 방문하는 것에 어떤 의미를 둘 수 있을까요?
[질문2]
최태복 북한 최고인민회의 의장이 베이징을 방문 중인데, 다이빙궈가 방북하는 것을 보면 최 의장의 방중은 이번 사태 해결과는 큰 관련이 없다고 봐도 될까요?
[질문3]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북한에서 가서 협의할 내용은 역시 6자회담 재개 문제겠지요?
[질문4]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방중기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면담할 것으로 봐야겠지요?
[질문5]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국가는 중국이 유일하다는 관측이 많은데, 중국 사람들은 중국이 북한에 압력을 넣을 수 있는 영향력이 없다고 말합니다.
어느 쪽이 맞는 말인가요?
[질문6]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중국은 천안함 사건 때와 비슷하게 움직이면서도 다이빙궈가 남북한을 잇따라 방문하는 등, 다른 부분도 눈에 띕니다.
박사님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7]
중국은 한반도 긴장이 고조될 때마다 남북 양측에 냉정과 자제를 촉구하는 일관된 자세를 보이고 있는데, 한반도에 대한 중국의 국가이익과도 관련이 있다고 봐야겠죠?
[질문8]
다이빙궈 국무위원이 지난 휴일 이명박 대통령을 면담하면서 한중 간 전략적 소통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자고 했는데, 어떤 의미가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9]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한국과 중국 관계가 멀어지는 양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중국에 대한 외교 활동,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