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레고랜드 부메랑 쇼크...최상위 신용도마저 '설상가상'

[자막뉴스] 레고랜드 부메랑 쇼크...최상위 신용도마저 '설상가상'

2022.10.25. 오후 2:0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춘천 레고랜드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고 있습니다.

심지어 정부까지 50조 원 이상의 긴급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정도로 사태가 심각해지고 있는데요.

도대체 강원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처음부터 차근차근 짚어보겠습니다.

먼저 불운의 연속이었던 레고랜드 추진 과정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십여 년 전인 2011년 영국의 '멀린 엔터테인먼트 '그룹과 강원도는 춘천에 있는 중도라는 섬에 레고랜드를 조성하기로 계약합니다.

그리고 이듬해 강원도는 레고랜드 조성을 위한 특수목적법인 '강원중도개발공사'를 설립해 2015년 개장한다는 계획을 세우죠.

그런데, 개발을 위해 땅을 갈아엎다 보니까 대규모 선사시대 유적이 발견됩니다.

그것도 거의 고대 도시급의 세계 최대 규모로 유적이 끊임없이 나오면서 공사는 중단됩니다.

최대한 유적을 훼손하지 않는 쪽으로 공사가 재개됐지만, 이번엔 코로나19 사태가 터집니다. 공사도 늦어지고, 개장도 자연스레 늦춰지면서 비용은 산더미처럼 불어나게 됩니다.

결국 추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강원중도개발공사는 채권을 발행해 돈을 빌립니다.

그런데, 돈 빌려주는 입장에서 지지부진한 레고랜드 사업에 섣불리 돈을 빌려줄 수 없겠죠? 그래서 강원도가 지급 보증을 섭니다.

"이쪽에서 못 갚으면 우리가 갚아줄게"라고 하면서 신용을 올렸죠.

그렇게 2,050억의 채권을 발행했는데, 이게 바로 지금 많이 거론되는 ABCP, 자산유동화기업어음입니다.

그런데 강원도에 또 한 번 중요한 변화가 생깁니다. 올해 6월 새로운 도지사로 김진태 강원지사가 선출되는데요.

김 지사는 지난달 28일, 채권 만기일을 하루 앞두고 법원에 강원중도개발공사의 회생 신청을 하겠다고 선언합니다.

어떤 의미냐면, 일단 강원중도개발공사라는 회사의 각종 재산부터 최대한 매각해서 갚고, 해도 해도 안 되면 그 때 강원도가 모자란 부분을 갚는다는 거죠.

채권 시장은 충격을 받습니다.

아, 국가 지자체도 신용을 보증할 수 없는 상황이구나. 강원도가 빚을 대신 갚지 않겠다는 의미로 받아들이죠.

신용으로 돌아가는 채권 시장에 나라가 보증을 선다는 건 그 채권에 대한 상당한 신뢰를 갖게 합니다.

하지만 이번 레고랜드 발 사태로 채권 시장에서는 믿을 곳이 없다는, 그야말로 불신의 폭탄이 떨어진 거죠.

결국 시장 불안으로 돈이 돌지 않던 채권시장은 더욱 경색됐습니다.

심지어 최상위 신용도를 가진 공사채마저 팔리지 않는 상황인데요.

신용도 AAA 등급의 한국전력공사나 부산교통공사 등도 사는 사람이 부족하다 보니 채권 발행에 실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태가 국고채 시장으로 확대되면서 투자자들의 손절 매도로 이어지자, '돈맥경화'라는 말까지 나오고 있는데요.

이처럼 비상 상황에 놀란 정부도 주말 동안 긴급회동을 하고, 사태 진화에 나섰습니다.

앵커 : 박석원
자막뉴스 : 이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