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통계 이후 최고 위험...폭발 위기 놓인 韓 경제

[자막뉴스] 통계 이후 최고 위험...폭발 위기 놓인 韓 경제

2023.01.19. 오후 4:0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꼽히는 가계와 기업의 '산더미 부채'가 고금리를 견디지 못하는 분위기입니다.

중·저신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연체율이 조금씩 오르고 있습니다.

지난해 3분기 신용카드 연체율은 전년 대비 0.7%p 상승했고, 특히 부동산 PF 대출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은 연체율이 3%로, 전 분기보다 0.4%p 올랐습니다.

올해 1분기 은행들이 예상한 신용위험지수는 지난해 말보다 4p 상승한 45로, 통계가 작성된 2002년 이후 최고치입니다.

[김영도 / 한국금융연구원 자본시장연구실장 : 고금리 상태가 상당 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차주 입장에서는 상환 부담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고 보고요. 아무래도 부실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근 은행권의 금리 인상 자제를 압박해온 금융당국도 부실 위험을 경계하고 나섰습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고금리로 대출 부실 위험이 커졌다며 신용회복지원과 채무 상담 등 은행권의 선제적 대응을 주문했습니다.

시장 개입 나아가 통화정책 무력화 논란에도 거듭 금리 인상 자제를 당부하고 나선 겁니다.

[이복현 / 금융감독원장 : 상승의 속도라든가 폭이 너무 빠르기 때문에 지나친 충격을 어떻게 완화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것이고. 변동성을 초래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런 점에 대해서 조금 더 우리 정책적 방향과 공감대를 이뤄줬으면 하는….]

이자 부담에 대출을 줄이는 은행권 차주와 달리 저신용자들과 중소기업은 부실 위기에 내몰리고 있어 세심한 관리가 시급해 보입니다.

YTN 김지선입니다.

촬영기자 : 윤성수
영상편집 : 마영후
그래픽 : 박유동
자막뉴스 : 이선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