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지만, 전체 가구 중 금융부채를 안고 있는 가구 비율은 57% 정도로 2015년 이후 큰 변화가 없습니다.
자본시장연구원이 나이별 소득 대비 금융부채가 몇 배인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4살 이하, 특히 34살 이하 그룹이 1.49로 가장 높았습니다.
청년층 가구에 빚이 집중되고 있는 겁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29살 이하 가구의 평균 가계부채는 5천14만 원으로 41.2%나 뛰었습니다.
또 30대 가구의 빚은 평균 1억 천3백만 원으로 액수가 50대보다 많았습니다.
올해도 이런 현상은 가속화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 가운데 20~30대 매수자가 31.6%를 차지해, 40대(25.9%)를 제쳤기 때문입니다.
[이인철 / 참조은경제연구소장 (YTN 뉴스라운지 출연) : 청년, 무주택자라면 거의 50년까지 연 4% 장기로 대출해 주는 특례보금자리론을 비롯해서 최장 50년짜리 주담대를 하다 보니 오히려 그런 사이에 주택 통계는 왜곡됐죠. 인허가 착공 물량이 줄었기 때문에 '이러면 지금이 더 싼 거 아니야? 빨리 매수해야 돼' 영끌족들이 가세를 했잖아요.]
다른 나잇대보다 부동산 관련 담보대출 비중이 높은 청년 대출.
고금리 장기화에 위기 신호가 울리고 있습니다.
29살 이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 0.13%를 기록한 이후 급증해 올해 2분기 말 0.44%로 최근 5년 이래 최고 수준입니다.
30대도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한계 상황으로 몰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취약계층에 최대 백만 원까지 대출해주는 소액생계비대출의 이자를 못 내는 사람 가운데 20~30대 비중이 절반 가까이 됩니다.
[정지수 /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 : 사회 경험이 적고 (지금) 소득이나 자산을 쌓아가는 첫 단계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환에 대한 부담이 다른 층에 비해서 더 클 수 있습니다. 불법 사금융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막는 게 일단 시급하다고 보고요.]
집값 폭등과 저금리를 경험하면서 내 집 마련에 대한 수요가 높지만,
고금리는 물론 좀처럼 꺾이지 않는 물가, 취업난까지 직면한 청년층,
위기 구제를 넘어서 자립을 위한 폭넓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영상편집ㅣ박정란
그래픽ㅣ기내경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자본시장연구원이 나이별 소득 대비 금융부채가 몇 배인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4살 이하, 특히 34살 이하 그룹이 1.49로 가장 높았습니다.
청년층 가구에 빚이 집중되고 있는 겁니다.
이에 따라 지난해 29살 이하 가구의 평균 가계부채는 5천14만 원으로 41.2%나 뛰었습니다.
또 30대 가구의 빚은 평균 1억 천3백만 원으로 액수가 50대보다 많았습니다.
올해도 이런 현상은 가속화됐을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 가운데 20~30대 매수자가 31.6%를 차지해, 40대(25.9%)를 제쳤기 때문입니다.
[이인철 / 참조은경제연구소장 (YTN 뉴스라운지 출연) : 청년, 무주택자라면 거의 50년까지 연 4% 장기로 대출해 주는 특례보금자리론을 비롯해서 최장 50년짜리 주담대를 하다 보니 오히려 그런 사이에 주택 통계는 왜곡됐죠. 인허가 착공 물량이 줄었기 때문에 '이러면 지금이 더 싼 거 아니야? 빨리 매수해야 돼' 영끌족들이 가세를 했잖아요.]
다른 나잇대보다 부동산 관련 담보대출 비중이 높은 청년 대출.
고금리 장기화에 위기 신호가 울리고 있습니다.
29살 이하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분기 말 0.13%를 기록한 이후 급증해 올해 2분기 말 0.44%로 최근 5년 이래 최고 수준입니다.
30대도 증가세가 꺾이지 않고 있습니다.
한계 상황으로 몰리는 경우도 많습니다.
취약계층에 최대 백만 원까지 대출해주는 소액생계비대출의 이자를 못 내는 사람 가운데 20~30대 비중이 절반 가까이 됩니다.
[정지수 /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 : 사회 경험이 적고 (지금) 소득이나 자산을 쌓아가는 첫 단계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환에 대한 부담이 다른 층에 비해서 더 클 수 있습니다. 불법 사금융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막는 게 일단 시급하다고 보고요.]
집값 폭등과 저금리를 경험하면서 내 집 마련에 대한 수요가 높지만,
고금리는 물론 좀처럼 꺾이지 않는 물가, 취업난까지 직면한 청년층,
위기 구제를 넘어서 자립을 위한 폭넓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영상편집ㅣ박정란
그래픽ㅣ기내경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