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오동건 앵커
■ 출연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1월 증시 보통은 호황이었던 경우들이 많았어요. 그런데 이례적이라고 봐야 될까요. 정말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건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이인철> 맞습니다. 1990년대 이후로 보통 통상 1월은 1월 효과라고 해서 대부분의 경제전망이 지난해보다는 좋겠죠라는 전망 그리고 주식시장도 장밋빛 전망이 있기 때문에 통상 한 3% 내외로 올랐어요. 그런데 다소 불안했던 게 지난 연말에 너무 많이 올랐거든요. 미국의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을 선반영하면서 미 증시뿐만 아니라 산타랠리를 만끽했고 그리고 1월 들어서는 국가별로 조금 차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일본은 좋아요, 여전히 좋습니다. 그런데 한국 증시만 오를 때 많이 못 오르고 또 내릴 때 더 큰 폭으로 조정을 받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특히 지난 주말 뉴욕증시는 정말 대형주주의 S&P500 지수가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습니다. 미국의 대형기업 500대 기업의 주가가 4800선을 돌파했는데 2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고요. 미 증시 사상 최저치 경신이 누구냐, 한마디로 AI입니다, 인공지능. 인공지능 반도체 칩을 만드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업종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4% 넘게 올랐거든요. 특히 그동안 지난해 뉴욕증시 상승에 주도한 업종 종목군을 뽑으라고 하면 메그니피센트가 있습니다. 메그리피센트라는 건 장엄한이라는 뜻인데 권총잡이 7인처럼 미국 증시 상승을 주도했던 기술주가 지난해 대형주 S&P500지수를 견인했어요.
그런데 연초에 뚜껑을 열어보니 7개 가운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 엔비디아, 테슬라, 메타로 구성돼 있거든요. 이들 대부분의 종목들이 대부분 다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겁니다. 특히 엔비디아라는 그래픽칩 제조업체이면서 AI용, 인공지능용 그래픽칩을 독점 공급하고 있는데. 여기가 전 세계 시가총액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1, 2위 다투고 있고 그리고 엔비디아가 4위인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시가총액을 불려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연초에 뉴욕증시도 조정을 받지 않은 건 아니에요. 사흘 정도 떨어졌어요. 미국증시가 좋으니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조금 밀리다 보니까 후퇴하면서 미국의 채권금리가 올랐고요.
여기다 중동의 지정학적 위기감이 고조되다 보니까 연초에 다시 주춤했는데 불을 붙인 게 뭐냐?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가전박람회입니다. 모든 AI는 사물과 연결되더라. 그러면서 AI 시장이 고사양칩 수요가 굉장히 가파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기술주 랠리에 힘을 싣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뉴욕증시도 이렇게 사상 최고치 경신다면 꼭 재 뿌리는 사람들이 있어요.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은 불안하다, 미 증시 상승은 굉장히 많이 오르고 있지만 그러나 실적을 감안하게 되면 실적이 다소 전망이 밝지 않기 때문에 S&P500지수가 지난 주 4800선을 돌파했다면 돌파했다면 연말에 가면 4200선대로 후퇴할 것이다. 그러니까 지금 대비 한 12% 정도 하락할 수도 있다라는 경고를 내놓고 있습니다.
◇앵커> 가치 투자하시는 분들이 실적과 연결해서 얘기하다 보니까 이런 얘기를 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반도체도 종류별로 있는 거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좀 기초적인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 우리도 한 반도체 하잖아요. 그런데 우리 증시는 지금 주요 20개국 가운데 우리나라만 힘을 못 쓰고 있는 거예요.
◆이인철> 맞습니다.
◇앵커> 왜 그런 건가요?
◆이인철> 지난주 후반 목요일, 금요일 조금 오르기는 했지만 여전히 코스피가 2470선이지만 연초에 2655로 출발했으니까 7%가량 연초 대비 떨어진 거예요. 왜냐. 크게 보면 한 세 가지 정도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앞서 제가 미국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많이 후퇴했다는 말씀을 드렸는데 이렇게 되면 위험자산에 투자했던 돈들이 빠져나갈 수밖에 없거든요. 그러니까 미국 연준 인사들까지 나서서 과도하다라고 경계를 하고 있고 미국의 소비, 고용지표는 여전히 핫하다 보니까 외국인들의 매도공세가 있었고요.
두 번째가 빅테크 기업들, 특히나 우리나라 삼성전자 실적을 가장 빨리 먼저 공개했는데 실적이 다소 부진해요. 물론 이건 가이던스이기 때문에 월말이 돼야지 실질적인 집계가 됩니다마는 지난해 4분기에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조금은 영업이익 3~4조 원대가 넘지 않겠느냐라는 기대감이 있었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한 2조 4000억 원대. 그리고 반도체는 아직도 적자라는 겁니다. 그러다 보니까 업황 회복이 예상보다 더딘 게 아니냐라는 거고요. 이렇게 실적 부진에다 환율까지 좀 요동치니까 기관투자자들이 무시 못할 정도로 연초에 많이 내팔았어요. 올해 7조 원 넘게 주식을 팔았는데 반도체만 절반이 넘습니다.
여기다 세 번째는 중국의 경제지표들도 좋지 않습니다. 중국 경기도 부진해요. 지난해에는 5% 넘게 성장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부동산 경기, 특히나 중국 경제 4분의 1은 부동산이거든요. 부동산 경기침체가 심화되고 있고 여기다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가세하다 보니까 올해는 중국 경제가 한 4% 중반대에 머물면서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거 아니냐라는 우려인데. 이외에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북한뿐 아니라 중동 그리고 타이완의 총통 선거까지 불거지다 보니까 점점 더 호재보다는 악재 속으로 빠져들고 있는 양상입니다.
대담 발췌: 박해진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이인철 참조은경제연구소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와이드]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 1월 증시 보통은 호황이었던 경우들이 많았어요. 그런데 이례적이라고 봐야 될까요. 정말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건데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이인철> 맞습니다. 1990년대 이후로 보통 통상 1월은 1월 효과라고 해서 대부분의 경제전망이 지난해보다는 좋겠죠라는 전망 그리고 주식시장도 장밋빛 전망이 있기 때문에 통상 한 3% 내외로 올랐어요. 그런데 다소 불안했던 게 지난 연말에 너무 많이 올랐거든요. 미국의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을 선반영하면서 미 증시뿐만 아니라 산타랠리를 만끽했고 그리고 1월 들어서는 국가별로 조금 차별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이나 일본은 좋아요, 여전히 좋습니다. 그런데 한국 증시만 오를 때 많이 못 오르고 또 내릴 때 더 큰 폭으로 조정을 받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특히 지난 주말 뉴욕증시는 정말 대형주주의 S&P500 지수가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웠습니다. 미국의 대형기업 500대 기업의 주가가 4800선을 돌파했는데 2년 만에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고요. 미 증시 사상 최저치 경신이 누구냐, 한마디로 AI입니다, 인공지능. 인공지능 반도체 칩을 만드는 필라델피아 반도체 업종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습니다. 4% 넘게 올랐거든요. 특히 그동안 지난해 뉴욕증시 상승에 주도한 업종 종목군을 뽑으라고 하면 메그니피센트가 있습니다. 메그리피센트라는 건 장엄한이라는 뜻인데 권총잡이 7인처럼 미국 증시 상승을 주도했던 기술주가 지난해 대형주 S&P500지수를 견인했어요.
그런데 연초에 뚜껑을 열어보니 7개 가운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알파벳, 엔비디아, 테슬라, 메타로 구성돼 있거든요. 이들 대부분의 종목들이 대부분 다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는 겁니다. 특히 엔비디아라는 그래픽칩 제조업체이면서 AI용, 인공지능용 그래픽칩을 독점 공급하고 있는데. 여기가 전 세계 시가총액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가 1, 2위 다투고 있고 그리고 엔비디아가 4위인데. 굉장히 빠른 속도로 시가총액을 불려가고 있습니다. 그러다 보니까 연초에 뉴욕증시도 조정을 받지 않은 건 아니에요. 사흘 정도 떨어졌어요. 미국증시가 좋으니 미국 연준의 금리인하 기대감이 조금 밀리다 보니까 후퇴하면서 미국의 채권금리가 올랐고요.
여기다 중동의 지정학적 위기감이 고조되다 보니까 연초에 다시 주춤했는데 불을 붙인 게 뭐냐?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렸던 가전박람회입니다. 모든 AI는 사물과 연결되더라. 그러면서 AI 시장이 고사양칩 수요가 굉장히 가파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기술주 랠리에 힘을 싣고 있는데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뉴욕증시도 이렇게 사상 최고치 경신다면 꼭 재 뿌리는 사람들이 있어요.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은 불안하다, 미 증시 상승은 굉장히 많이 오르고 있지만 그러나 실적을 감안하게 되면 실적이 다소 전망이 밝지 않기 때문에 S&P500지수가 지난 주 4800선을 돌파했다면 돌파했다면 연말에 가면 4200선대로 후퇴할 것이다. 그러니까 지금 대비 한 12% 정도 하락할 수도 있다라는 경고를 내놓고 있습니다.
◇앵커> 가치 투자하시는 분들이 실적과 연결해서 얘기하다 보니까 이런 얘기를 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반도체도 종류별로 있는 거 알고 있습니다. 그래도 좀 기초적인 질문을 드리고 싶은데 우리도 한 반도체 하잖아요. 그런데 우리 증시는 지금 주요 20개국 가운데 우리나라만 힘을 못 쓰고 있는 거예요.
◆이인철> 맞습니다.
◇앵커> 왜 그런 건가요?
◆이인철> 지난주 후반 목요일, 금요일 조금 오르기는 했지만 여전히 코스피가 2470선이지만 연초에 2655로 출발했으니까 7%가량 연초 대비 떨어진 거예요. 왜냐. 크게 보면 한 세 가지 정도 이유가 있습니다.
우선 앞서 제가 미국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많이 후퇴했다는 말씀을 드렸는데 이렇게 되면 위험자산에 투자했던 돈들이 빠져나갈 수밖에 없거든요. 그러니까 미국 연준 인사들까지 나서서 과도하다라고 경계를 하고 있고 미국의 소비, 고용지표는 여전히 핫하다 보니까 외국인들의 매도공세가 있었고요.
두 번째가 빅테크 기업들, 특히나 우리나라 삼성전자 실적을 가장 빨리 먼저 공개했는데 실적이 다소 부진해요. 물론 이건 가이던스이기 때문에 월말이 돼야지 실질적인 집계가 됩니다마는 지난해 4분기에 반도체 업황 개선으로 조금은 영업이익 3~4조 원대가 넘지 않겠느냐라는 기대감이 있었는데 뚜껑을 열어보니 한 2조 4000억 원대. 그리고 반도체는 아직도 적자라는 겁니다. 그러다 보니까 업황 회복이 예상보다 더딘 게 아니냐라는 거고요. 이렇게 실적 부진에다 환율까지 좀 요동치니까 기관투자자들이 무시 못할 정도로 연초에 많이 내팔았어요. 올해 7조 원 넘게 주식을 팔았는데 반도체만 절반이 넘습니다.
여기다 세 번째는 중국의 경제지표들도 좋지 않습니다. 중국 경기도 부진해요. 지난해에는 5% 넘게 성장을 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부동산 경기, 특히나 중국 경제 4분의 1은 부동산이거든요. 부동산 경기침체가 심화되고 있고 여기다 디플레이션 우려까지 가세하다 보니까 올해는 중국 경제가 한 4% 중반대에 머물면서 저성장이 고착화되는 거 아니냐라는 우려인데. 이외에도 지정학적 리스크가 북한뿐 아니라 중동 그리고 타이완의 총통 선거까지 불거지다 보니까 점점 더 호재보다는 악재 속으로 빠져들고 있는 양상입니다.
대담 발췌: 박해진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