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절망적 예측" 쪼그라드는 한국, 결국 이렇게까지...

[자막뉴스] "절망적 예측" 쪼그라드는 한국, 결국 이렇게까지...

2024.05.29. 오전 05:08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정부청사가 이전한 세종시는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인구가 자연증가하고 있는 곳입니다.

저출산 고령화에 세종시마저 2045년부터 출생아 수가 사망자 수보다 적어질 전망입니다.

인구이동을 고려하면 2052년 세종과 경기를 제외한 15개 시도에서 총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 인구는 793만 명으로 8백만 명 선이 무너질 전망입니다.

특히 부산과 울산 인구는 2022년 대비 26% 가까이 줄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따라 인천이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온누리 / 통계청 인구추계팀장 : 10대, 20대, 30대까지는 수도권으로 가고, 그다음에 40대 이상은 인근 도 지역으로 가기 때문에 (지방) 광역시의 인구 감소 폭이 조금 더 커지는 것으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52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전남과 경북이 절반에 육박하는 등 11개 시도에서 40%를 넘을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중위연령이 전국 평균 44.9세에서 58.8세로 높아질 전망입니다.

가장 젊은 세종시도 52세가 넘어 현 수준보다 7살 이상 많아집니다.

생산연령인구도 급감해 울산은 2022년 81만 명에서 41만 명으로 반토막 날 전망입니다.

이에 따라 생산연령 인구 백 명이 부양하는 아이와 노인 수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전국 평균 40명대에서 94명대로 올라갑니다.

100명을 넘어 부양자보다 피부양자가 더 많은 시도가 10곳에 이를 전망입니다.

14살 이하 유소년 인구는 4개 시도에서 절반 이상 줄고, 학령인구도 7개 시도에서 절반 이상 감소할 전망입니다.

YTN 이승은입니다.


영상편집 : 김희정
디자인 : 김효진
자막뉴스 : 정의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