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끝내 뽑힌 안전핀...최전방 배치 軍 '만반의 준비'

[자막뉴스] 끝내 뽑힌 안전핀...최전방 배치 軍 '만반의 준비'

2024.06.05. 오전 11:1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지난해 11월 말 해병대의 서북도서 훈련 장면입니다.

적의 상륙을 저지하는 K1 전차가 바다가 아닌 산을 향해 불을 뿜습니다.

하지만 지난 1월에는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발포 준비! 끝!"

이번에는 전차의 포신이 바다를 향해 불을 뿜습니다.

9·19 남북 군사합의로 바다를 향해 쏘지 못했지만, 두 달 뒤에는 북한의 도발에 대응해 정상훈련에 들어간 것입니다.

앞으로는 군사합의 효력이 완전히 정지되면서 이 같은 실질적인 최전방 훈련이 전면 재개됩니다.

[조창래 / 국방부 국방정책실장 : 9·19 군사합의에 의해 제약받아 온 군사분계선, 서북도서 일대에서 우리 군의 모든 군사활동을 정상적으로 복원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군사분계선 5km 안에서 상대방을 겨냥한 각종 군사연습을 중지한 조항과,

군사분계선 인근 상공 동부지역 40km, 서부지역 20km까지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한 조항 모두 효력을 잃었습니다.

앞으로 이 지역에서의 포병 사격과 연대급 이상 야외기동훈련을 할 수 있게 된 겁니다.

또 북방한계선 인근 해군 함정의 기동과 포사격도 가능해졌고, 비행금지구역도 사라져 감시정찰 활동도 활발해질 전망입니다.

[김용현 /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 (YTN 뉴스퀘어10 출연) : (군사합의의 조절 기능이) 없어지기 때문에 군사적인 차원에서 보면 남북 간의 긴장 수위는 계속 높아질 수밖에 없는 그런 우려를 할 수밖에 없는 대목이라고 봐야 되겠습니다.]

군 당국은 완충장치가 사라져 긴장이 고조될 것이라는 우려에 북한은 9·19 합의 이후에도 도발을 계속해 왔다며 효력을 정지하고 대비 태세를 갖추는 게 위기 고조를 예방하는 측면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YTN 조용성입니다.

촬영기자ㅣ우영택
영상편집ㅣ한수민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