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中서 쏙 빠진 김정은...북러 질문하자 '뜻밖의 답변'

[자막뉴스] 中서 쏙 빠진 김정은...북러 질문하자 '뜻밖의 답변'

2024.06.19. 오전 11:1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어제 중국 외교부 브리핑에서 비슷한 질문이 나왔는데요.

냉소적이라고 느껴질 만큼 짤막한 대답만 내놨습니다.

먼저, 직접 들어보시죠.

[린젠 / 중국 외교부 대변인 : (러시아와 북한이 양호한 관계를 유지하는 현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느냐?) 앞서 이런 문제에 답변한 적이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 사이 양자 교류입니다.]

앞서 지난 13일 푸틴 방북설 관련 질문에도 중국은 "북러 양자 왕래의 일로 논평하기 적절하지 않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이어 "원칙적으로 말하자면, 러시아와 관련국이 전통적 우호 관계를 다지는 걸 환영한다"고 말했는데요.

북한을 관련국이라고 지칭한 걸 두고 최근 중국의 불편한 심기를 노출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전통적 우호'라는 말도 기존 북러 관계 이상의 밀착을 꺼린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대외선전 매체 '글로벌 타임스'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 소식을 전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한 번도 언급하지 않은 것도 눈여겨볼 대목입니다.

오늘 북러정상회담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이나 지금은 폐기된 1961년 '자동 군사 개입' 조항 복원 등의 관측이 나오는데요.

그럴 경우, 탈냉전과 소련 해체 이후 사실상 한반도 문제에서 손을 뗐던 러시아가 다시 발을 들이는 계기로 받아들여집니다.

그동안 한반도 문제에 공을 들여온 중국 입장에선 그만큼 영향력이 축소될 수밖에 없겠죠.

북한 역시 러시아와 밀착을 통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UN 제재에 구애받는 중국에 우회적으로 불만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북중러 삼각 동맹'으로 얽히는 모양새가 미국을 비롯한 서방 세계에 공격의 빌미를 주게 되는 것도 중국 입장에선 반갑지 않은 상황인데요.

오늘 북러 정상회담 결과에 따라 중국의 전략적 이해관계에 변화가 불가피한 만큼 오후 외교부 브리핑에서 어떤 반응이 나올지 지켜보겠습니다.

지금까지 베이징에서 YTN 강정규입니다.

영상편집ㅣ이영훈
디자인ㅣ김진호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유튜브 구독자 450만 달성 축하이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