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공직 사회에서 하급 공무원들이 사비를 걷어 국·과장에게 식사를 대접하는 이른바 '모시는 날' 관행이 여전한 가운데, 이에 대한 불만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자체 소속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직사회 모시는 날 관행에 대한 공무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지방공무원 1만 2,562명 중 75.7%인 9,479명이 '모시는 날'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44%인 5,514명은 최근 1년 이내에 '모시는 날'을 직접 경험했거나 지금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모시는 날'은 주로 7~9급 공무원들이 사비를 걷어 소속 부서 국장(4급)이나 과장(5급)에게 주기적으로 음식을 대접하는 관행이다.
식사 비용 부담 방식은 소속 팀별로 사비를 걷어 운영하는 팀비에서 지출한다는 응답이 55.6%로 가장 많았다. 사비로 당일 비용을 갹출하거나 미리 돈을 걷어놓는다는 답이 21.5%, 근무 기관 재정을 편법·불법 사용한다는 답변도 4.1%로 나타났다. 국·과장이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주로 업무추진비(31.1%)를 이용했다고 위 의원은 전했다.
조사에 참여한 공무원 10명 중 7명(69.2%)은 모시는 날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변했고, 특히 '매우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44.7%로 많았다.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자유롭게 기술해달라'는 질문에는 "9급 3호봉인데 매달 10만 원씩 내는 게 부담스럽다", "월급 500만 원 받는 분들이 200만 원 받는 청년들 돈으로 점심 먹는 게 이상하다", "비용을 메꾸기 위해 초과근무를 시킨다", "업무추진비는 부서장 용돈처럼 쓰고 모시는 날에는 사비를 갹출한다", "노래방 사회까지 시킨다" 등 반발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또 "부서장의 호불호, 제철 음식을 파악하고 다른 팀과 겹치지 않는 메뉴를 골라야 한다"거나 "식당을 고르고 승인받고 예약하고 미리 가서 수저 세팅까지 하느라 오전 업무에 집중할 수 없다"는 고충을 털어놓기도 했다. "제발 없애달라"는 호소가 담긴 의견만 수백 건이 제출됐고, 구체적인 혐의에 대해 감사를 요구하는 응답도 있었다.
디지털뉴스팀 박선영 기자
YTN 박선영 (parksy@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자체 소속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직사회 모시는 날 관행에 대한 공무원 인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한 지방공무원 1만 2,562명 중 75.7%인 9,479명이 '모시는 날'을 알고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44%인 5,514명은 최근 1년 이내에 '모시는 날'을 직접 경험했거나 지금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다.
'모시는 날'은 주로 7~9급 공무원들이 사비를 걷어 소속 부서 국장(4급)이나 과장(5급)에게 주기적으로 음식을 대접하는 관행이다.
식사 비용 부담 방식은 소속 팀별로 사비를 걷어 운영하는 팀비에서 지출한다는 응답이 55.6%로 가장 많았다. 사비로 당일 비용을 갹출하거나 미리 돈을 걷어놓는다는 답이 21.5%, 근무 기관 재정을 편법·불법 사용한다는 답변도 4.1%로 나타났다. 국·과장이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주로 업무추진비(31.1%)를 이용했다고 위 의원은 전했다.
조사에 참여한 공무원 10명 중 7명(69.2%)은 모시는 날을 부정적으로 생각한다고 답변했고, 특히 '매우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44.7%로 많았다.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자유롭게 기술해달라'는 질문에는 "9급 3호봉인데 매달 10만 원씩 내는 게 부담스럽다", "월급 500만 원 받는 분들이 200만 원 받는 청년들 돈으로 점심 먹는 게 이상하다", "비용을 메꾸기 위해 초과근무를 시킨다", "업무추진비는 부서장 용돈처럼 쓰고 모시는 날에는 사비를 갹출한다", "노래방 사회까지 시킨다" 등 반발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또 "부서장의 호불호, 제철 음식을 파악하고 다른 팀과 겹치지 않는 메뉴를 골라야 한다"거나 "식당을 고르고 승인받고 예약하고 미리 가서 수저 세팅까지 하느라 오전 업무에 집중할 수 없다"는 고충을 털어놓기도 했다. "제발 없애달라"는 호소가 담긴 의견만 수백 건이 제출됐고, 구체적인 혐의에 대해 감사를 요구하는 응답도 있었다.
디지털뉴스팀 박선영 기자
YTN 박선영 (parksy@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