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북한의 러시아 파병으로 인해 서방은 그동안 과소평가했던 북한 리스크에 불시에 직면하게 되었다는 자성이 나오고 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북한이 러시아, 중국, 이란과 함께 '악의적 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김정은의 우크라이나전 파병이 북한의 위험스러운 전략적 전환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지적한 기드온 라흐만 수석외교 논평가의 기고문을 실었습니다.
기고문에서 FT는 북한 전문가들을 인용해 김정은이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포기하고 군사적 해법을 추구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북한은 그간 서방에서 조롱거리로 취급되어 왔지만,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 사이버 역량까지 갖춘 현실적인 위협으로 부상했다고 경고했습니다.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역할에 대해선 초기에는 지원이나 방어 역할을 예상했으나, 북한군이 직접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공격에 가담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북한군의 숫자는 많지만 훈련과 장비는 열악하며, 푸틴은 전쟁을 위해 '총알받이'를 필요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동시에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군사 기술을 제공받고, 한반도에서의 갈등 상황에 러시아의 개입을 기대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아울러 북한이 러시아에 물자 및 군사 기술을 이전받을 가능성과 별개로 "김정은이 한반도 갈등 상황에서 러시아의 개입을 바랄 수도 있다"며 "이는 한국과 미국, 유럽 모두에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파이낸셜타임스(FT)는 북한이 러시아, 중국, 이란과 함께 '악의적 축'을 형성하고 있으며, 김정은의 우크라이나전 파병이 북한의 위험스러운 전략적 전환을 명확히 보여준다고 지적한 기드온 라흐만 수석외교 논평가의 기고문을 실었습니다.
기고문에서 FT는 북한 전문가들을 인용해 김정은이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포기하고 군사적 해법을 추구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북한은 그간 서방에서 조롱거리로 취급되어 왔지만,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 사이버 역량까지 갖춘 현실적인 위협으로 부상했다고 경고했습니다.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역할에 대해선 초기에는 지원이나 방어 역할을 예상했으나, 북한군이 직접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의 공격에 가담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북한군의 숫자는 많지만 훈련과 장비는 열악하며, 푸틴은 전쟁을 위해 '총알받이'를 필요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동시에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군사 기술을 제공받고, 한반도에서의 갈등 상황에 러시아의 개입을 기대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그는 아울러 북한이 러시아에 물자 및 군사 기술을 이전받을 가능성과 별개로 "김정은이 한반도 갈등 상황에서 러시아의 개입을 바랄 수도 있다"며 "이는 한국과 미국, 유럽 모두에 매우 어려운 문제"라고 강조했습니다.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