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둑 뚫려버린 지구의 역습...한반도 '대격변' 경고

[자막뉴스] 둑 뚫려버린 지구의 역습...한반도 '대격변' 경고

2025.02.03. 오전 11:03.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지난해 지구 평균 온도는 15.1도, 2023년의 최고 기록을 단숨에 뛰어넘으며 가장 더운 해가 됐습니다.

특히 기후 위기의 경계로 불리는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를 넘긴 첫해로 기록되며 전 세계에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알렸습니다.

[스테판 두자릭 / 유엔 사무총장 대변인 : 2024년은 기록상 가장 따뜻한 해였고, 산업화 이전 수준보다 약 1.55℃ 높았습니다.]

중국과 브라질, 케냐, 독일, 나이지리아 등에서는 대규모 홍수로 인명피해가 잇따랐고,

에티오피아와 네팔은 산사태, 인도에선 50도를 넘는 극한 폭염이 나타났습니다.

필리핀과 베트남, 미국 등지에서는 태풍과 허리케인의 영향으로 막대한 피해가 속출했습니다.

한반도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역시 관측 사상 폭염 일수와 열대야, 해수 온도 등 줄줄이 역대 1, 2위를 찍었습니다.

높아진 기온과 해수 온도는 폭우를 불렀습니다.

지난해 시간당 100mm 이상의 극한 호우가 16차례나 쏟아졌고, 여름철 강수량 가운데 80%가량이 장마철에 집중됐습니다.

문제는 이 같은 이례적 기상 상황이 지난해만 국한된 게 아니라는 겁니다.

전문가들은 재난을 유발할 정도의 강한 강수 빈도가 점점 늘고 있어 올해도 이례적 호우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김백민 /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교수 : 수증기가 계속 차오르고 있다는 거고요. 이게 어떤 요인에 의해서 응결하기 시작하면 그 많은 수증기가 전부 다 비로 전환되는 거죠. 그러니까 훨씬 더 예전보다 강한 집중호우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그런 필요 조건들을 만들어주고 있다고….]

특히 최근 한반도 주변 해수면 온도는 전 지구 평균의 2배 이상.

전문가들은 올해도 온난화가 지속하며 폭염과 폭우뿐 아니라 계절을 넘나드는 예측할 수 없는 날씨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더불어 지난해 비껴갔던 슈퍼 태풍이 한반도를 위협할 가능성이 있다며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읍니다.

YTN 김민경입니다.

영상편집ㅣ이영훈
디자인ㅣ이원희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