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건설 불황이 장기화하면서 지난해 4분기 건설 실적이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건설기성액(불변)은 30조4천492억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10.1% 감소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15.3%) 이후 같은 4분기 기준 16년 만에 가장 큰 감소율입니다.
건설업 불황은 올해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건설기성의 선행 지표인 건설수주는 지난해 4분기 전년 동기보다 2.5% 증가했습니다.
다만 건설수주가 건설기성 지표로 반영되기까지는 통상 1년에서 1년 반가량의 '시차'가 발생합니다.
즉 올해 건설기성 지표는 2023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건설수주 지표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2023년 건설수주는 1분기(-12.7%)와 2분기(-31.4%), 3분기(-44.8%) 모두 전년 동기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 12월 건설기성이 살짝 회복하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부진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경기 상황에 따라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 정도부터 회복세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AI앵커 : Y-GO
자막편집 : 정의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건설기성액(불변)은 30조4천492억원으로 전년 같은 분기보다 10.1% 감소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15.3%) 이후 같은 4분기 기준 16년 만에 가장 큰 감소율입니다.
건설업 불황은 올해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건설기성의 선행 지표인 건설수주는 지난해 4분기 전년 동기보다 2.5% 증가했습니다.
다만 건설수주가 건설기성 지표로 반영되기까지는 통상 1년에서 1년 반가량의 '시차'가 발생합니다.
즉 올해 건설기성 지표는 2023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건설수주 지표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2023년 건설수주는 1분기(-12.7%)와 2분기(-31.4%), 3분기(-44.8%) 모두 전년 동기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작년 12월 건설기성이 살짝 회복하기는 했지만, 전반적인 부진 흐름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며 "경기 상황에 따라 올해 하반기 또는 내년 상반기 정도부터 회복세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AI앵커 : Y-GO
자막편집 : 정의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