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붙기 전 사둬야"...미국에 벌어진 사재기 행렬 [지금이뉴스]

"관세 붙기 전 사둬야"...미국에 벌어진 사재기 행렬 [지금이뉴스]

2025.02.04. 오전 09:46.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캐나다·멕시코·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부과 우려에, 미국 소비자와 기업들이 대대적인 사재기에 나서고 있습니다.

CNBC는 3일(현지시간) “유통업체 월마트, 스포츠 브랜드 컬럼비아, 전자기기 제조업체 레노버 등 다양한 업종에서 재고 확보에 나서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특히 태양광 패널, 리튬 배터리 등 일부 수입품이 물류창고에 대량으로 쌓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 월마트와 타깃 같은 대형 소매업체에서는 화장지 등 생활필수품의 재고가 급격히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났지만 이번 ‘관세 폭탄’이 현실화되면서, 기업과 소비자들의 사재기 움직임이 더욱 가속화되는 모습입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 소프트웨어 업체 직원이 “대선 이후 삼성 냉난방기, LG TV, 밀레 진공청소기 등 최신 가전제품을 1만2000달러(약 1759만 원)어치 구매했다”고 밝히는 등 고가 제품을 미리 사두려는 소비자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고 전했습니다.

유통업체들도 “지금이 가장 저렴한 시점”이라며 사실상 사재기를 부추기고 있으며, 관세 시행 이후 몇 달 전부터 선제적으로 구매한 소비자들이 가격 인상으로 이득을 볼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이러한 움직임이 미국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CNBC는 “기업들이 대량으로 물품을 비축하면서 창고 보관 비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소비자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ABC 또한 “현재는 재고가 충분하지만, 물량이 소진되기 시작하면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부담해야 할 것”이라며 관세 인상의 장기적 영향을 경고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