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지구 온난화로 겨울이 따뜻해지면서 전 세계 주요 대도시에서 쥐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리치먼드대 조너선 리처드슨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31일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미국과 캐나다, 네덜란드, 일본 등 16개 도시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쥐가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워싱턴DC에서는 쥐 개체 수가 390%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으며, 샌프란시스코(300%), 토론토(186%), 뉴욕(162%) 등에서도 급증세를 보였습니다.
조사 대상 16개 도시 중 11곳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확인됐습니다.
반면 뉴올리언스, 루이빌, 도쿄에서는 쥐 개체 수가 감소했습니다.
런던과 파리 등 상당수 주요 대도시는 이런 자료를 아예 제공하지 않아 연구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연구진은 기온 상승이 쥐 개체 수 증가에 미친 영향이 약 40%에 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인구밀도가 높고 녹지공간이 적은 도시일수록 쥐가 많았습니다.
뉴올리언스에서는 쥐 방지 교육이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이며, 도쿄의 경우 철저한 청결 관리와 시민들의 즉각적인 신고 문화가 쥐 감소의 요인으로 분석됐습니다.
그러나 쓰레기 관리가 미흡한 도시에서는 쥐들이 쉽게 번식하며 개체 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워싱턴DC와 뉴욕 등 일부 도시는 부동산 관리자와 방제업체 직원들에게 쥐 방제 교육을 실시하고, 개를 이용한 쥐 사냥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퇴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며, 기후 변화가 설치류 개체 수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면밀히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 리치먼드대 조너선 리처드슨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31일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미국과 캐나다, 네덜란드, 일본 등 16개 도시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간 쥐가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워싱턴DC에서는 쥐 개체 수가 390% 증가해 가장 큰 폭으로 늘었으며, 샌프란시스코(300%), 토론토(186%), 뉴욕(162%) 등에서도 급증세를 보였습니다.
조사 대상 16개 도시 중 11곳에서 유의미한 증가가 확인됐습니다.
반면 뉴올리언스, 루이빌, 도쿄에서는 쥐 개체 수가 감소했습니다.
런던과 파리 등 상당수 주요 대도시는 이런 자료를 아예 제공하지 않아 연구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연구진은 기온 상승이 쥐 개체 수 증가에 미친 영향이 약 40%에 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인구밀도가 높고 녹지공간이 적은 도시일수록 쥐가 많았습니다.
뉴올리언스에서는 쥐 방지 교육이 효과를 거둔 것으로 보이며, 도쿄의 경우 철저한 청결 관리와 시민들의 즉각적인 신고 문화가 쥐 감소의 요인으로 분석됐습니다.
그러나 쓰레기 관리가 미흡한 도시에서는 쥐들이 쉽게 번식하며 개체 수가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워싱턴DC와 뉴욕 등 일부 도시는 부동산 관리자와 방제업체 직원들에게 쥐 방제 교육을 실시하고, 개를 이용한 쥐 사냥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퇴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하며, 기후 변화가 설치류 개체 수에 미치는 영향을 더욱 면밀히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