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폭탄 3대 노림수…"제조업 살리고 적자 개선"
관세 폭탄 노림수① 쇠락한 제조업 재건…고용 창출
관세 폭탄 노림수② 상호 관세로 무역 적자 해소
관세 폭탄 노림수③ 감세로 줄어드는 세수 충당
관세 폭탄 노림수① 쇠락한 제조업 재건…고용 창출
관세 폭탄 노림수② 상호 관세로 무역 적자 해소
관세 폭탄 노림수③ 감세로 줄어드는 세수 충당
AD
미국이 제조업 강국으로 성장해 가던 지난 1920~30년대에 철강 등 원자재 수송을 위해 조성된 뉴욕 맨해튼 시내의 화물 철도고가.
미국이 제조업 경쟁력을 상실해가면서 1980년에 폐쇄됐고, 2009년에 공원으로 탈바꿈하며 제조업 쇠퇴의 산 증인이 됐습니다.
이렇게 쇠락한 제조업을 재건하는 게 트럼프 관세 폭탄의 첫 번째 노림수입니다.
특히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는 미국 철강업부터 살려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복안입니다.
두 번째 노림수는 무역 적자 해소입니다.
상호 관세로 대미 무역 흑자 규모가 크거나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의 이익을 미국으로 가져온다는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모든 국가에 대해 상호주의가 적용될 것입니다. 미국을 이용하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상호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세 번째 노림수는 관세를 통해 트럼프의 공약인 감세로 줄어드는 세수를 충당할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겁니다.
문제는 관세가 무역전쟁을 불러와 전 세계 교역을 줄이고 물가 인상을 부르며 미국 기업의 이익과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에 타격을 준다는 점입니다.
[조지 치폴로니 / 펜 뮤추얼 자산운용 포트폴리오 매니저 : 기업의 반응을 주목해야죠. 포드 CEO 짐 팔리는 관세가 오래 지속되면, 이익이 다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도 목표는 같았지만, 동맹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과 보조금 지급을 통한 해외 기업 유치를 해법으로 택했습니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와 달리 동맹국, 비동맹국을 가리지 않은 관세 폭탄을 해법으로 선택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더 나은 정책 결과를 도출해 낼지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기자ㅣ최고은
자막뉴스ㅣ이미영, 이도형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이 제조업 경쟁력을 상실해가면서 1980년에 폐쇄됐고, 2009년에 공원으로 탈바꿈하며 제조업 쇠퇴의 산 증인이 됐습니다.
이렇게 쇠락한 제조업을 재건하는 게 트럼프 관세 폭탄의 첫 번째 노림수입니다.
특히 철강과 알루미늄 관세는 미국 철강업부터 살려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복안입니다.
두 번째 노림수는 무역 적자 해소입니다.
상호 관세로 대미 무역 흑자 규모가 크거나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의 이익을 미국으로 가져온다는 겁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모든 국가에 대해 상호주의가 적용될 것입니다. 미국을 이용하는 국가들에 대해서는 상호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세 번째 노림수는 관세를 통해 트럼프의 공약인 감세로 줄어드는 세수를 충당할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겁니다.
문제는 관세가 무역전쟁을 불러와 전 세계 교역을 줄이고 물가 인상을 부르며 미국 기업의 이익과 미국의 글로벌 리더십에 타격을 준다는 점입니다.
[조지 치폴로니 / 펜 뮤추얼 자산운용 포트폴리오 매니저 : 기업의 반응을 주목해야죠. 포드 CEO 짐 팔리는 관세가 오래 지속되면, 이익이 다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도 목표는 같았지만, 동맹국 중심의 공급망 재편과 보조금 지급을 통한 해외 기업 유치를 해법으로 택했습니다.
전임 바이든 행정부와 달리 동맹국, 비동맹국을 가리지 않은 관세 폭탄을 해법으로 선택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더 나은 정책 결과를 도출해 낼지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뉴욕에서 YTN 이승윤입니다.
촬영기자ㅣ최고은
자막뉴스ㅣ이미영, 이도형
#YTN자막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