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주변 소음을 막아주는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과 헤드폰 등이 젊은 층의 청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현지 시간 19일 영국 BBC는 런던에 거주하는 25세 여성 소피가 최근 '청각 정보 처리 장애(APD)' 판정을 받은 사례를 소개했다.
소피는 평소 소리를 들어도 어디서 나는 소리인지 알 수가 없고, 사람이 하는 말소리를 들어도 빠르게 해석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든 말이 횡설수설하게 들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사람 말을 잘 안 듣는다', ' 멍해 보인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게 됐다.
현재 런던에서 대학을 다니는 그는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는 것에도 어려움을 느껴 온라인 수업의 자막을 봐야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리가 소음으로 느껴지고, 술집이나 식당을 가도 소음 때문에 일찍 나오게 된다고 덧붙였다.
병원을 찾은 소피는 청력 검사 결과 정상으로 나왔지만 이후 정밀 검사에서는 청각정보처리장애(APD) 진단을 받았다. APD는 귀에서 소리를 정상적으로 감지하더라도 뇌가 소리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 청각학과는 소피처럼 청력 문제로 병원을 찾는 젊은 세대의 수가 최근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모두 청력은 정상이지만, 소리를 처리하는 능력에 문제가 있다는 검사 결과가 나타났다.
소피가 APD를 진단받은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인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나 무선 이어폰의 영향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실제로 소피는 하루 최대 5시간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젊은 층 사이에서 애플 에어팟을 비롯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탑재된 무선 이어폰, 헤드셋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고주파 및 큰 소음으로부터 귀 손상을 막을 수 있어 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지만, 일각에서는 자동차 경적소리와 같은 일상의 소음을 모조리 차단함으로써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방법을 '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현지 시간 19일 영국 BBC는 런던에 거주하는 25세 여성 소피가 최근 '청각 정보 처리 장애(APD)' 판정을 받은 사례를 소개했다.
소피는 평소 소리를 들어도 어디서 나는 소리인지 알 수가 없고, 사람이 하는 말소리를 들어도 빠르게 해석할 수 없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든 말이 횡설수설하게 들리고, 주변 사람들에게 '사람 말을 잘 안 듣는다', ' 멍해 보인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게 됐다.
현재 런던에서 대학을 다니는 그는 강의실에서 수업을 듣는 것에도 어려움을 느껴 온라인 수업의 자막을 봐야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모든 소리가 소음으로 느껴지고, 술집이나 식당을 가도 소음 때문에 일찍 나오게 된다고 덧붙였다.
병원을 찾은 소피는 청력 검사 결과 정상으로 나왔지만 이후 정밀 검사에서는 청각정보처리장애(APD) 진단을 받았다. APD는 귀에서 소리를 정상적으로 감지하더라도 뇌가 소리 정보를 올바르게 해석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영국 국민보건서비스(NHS) 청각학과는 소피처럼 청력 문제로 병원을 찾는 젊은 세대의 수가 최근 늘어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모두 청력은 정상이지만, 소리를 처리하는 능력에 문제가 있다는 검사 결과가 나타났다.
소피가 APD를 진단받은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주변 소음을 차단하는 기능인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나 무선 이어폰의 영향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실제로 소피는 하루 최대 5시간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을 사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젊은 층 사이에서 애플 에어팟을 비롯해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탑재된 무선 이어폰, 헤드셋 등이 인기를 끌고 있다. 노이즈 캔슬링 기능은 고주파 및 큰 소음으로부터 귀 손상을 막을 수 있어 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졌지만, 일각에서는 자동차 경적소리와 같은 일상의 소음을 모조리 차단함으로써 뇌가 소음을 걸러내는 방법을 '
YTN 이유나 (lyn@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