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국가들, 中 위협에 '화들짝'...다급해지자 K방산에 러브콜 [지금이뉴스]

동남아 국가들, 中 위협에 '화들짝'...다급해지자 K방산에 러브콜 [지금이뉴스]

2025.02.20. 오후 4:55.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군비 지출이 증가하는 가운데, 한국 방위산업이 주요 수혜자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동남아시아가 새 무기 공급자를 찾으면서 중국의 손실이 한국의 이익이 되는 이유"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지정학적 갈등으로 중국 무기를 대체할 대안으로 한국산 무기가 주목받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현재 중국은 남중국해의 약 90%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필리핀, 베트남, 대만,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등과 갈등을 빚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필리핀을 비롯한 동남아 국가들이 군사력 강화를 위해 새로운 무기 공급처를 모색하는 가운데, 가격 대비 성능이 뛰어난 한국산 무기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필리핀은 2014년 도입한 한국산 전투기 FA-50을 추가 구매하는 협상을 진행 중이며, 2028년까지 12척 이상의 한국산 함정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또한 베트남은 한국산 K9 자주포 약 20문의 도입을 앞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태국 역시 중국산 잠수함 도입이 무산된 이후, 한국산 무기에 대한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이 동남아에 무기를 수출하던 기존의 정치적·경제적 유대가 약화되면서, 신뢰할 수 있는 대체 공급국으로 한국이 부상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또한 서방 표준 무기 체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한국산 무기가 적절한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한국 무기는 미국·서방산 대비 저렴하면서도 품질과 전달 효율성이 뛰어나 동남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국이 동남아시아의 지정학적 분쟁에 직접적으로 연루되지 않았다는 점도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미국, 중국, 러시아에서 무기를 구입하는 것은 지정학적 긴장을 유발할 수 있지만, 한국산 무기는 이러한 위험이 비교적 적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역사적·정치적 부담이 적고, 한국 문화의 소프트파워도 동남아에서의 방산 협력 확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