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국내 고객 4천만 명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중국 알리페이에 넘긴 애플페이가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질의에서 '모르쇠'로 일관해 질타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개인정보위가 공개한 당시 전체 회의 속기록을 보면 애플의 국내 대리인은 '알리 등 다른 기업에서 애플이 만든 고객 점수를 받아 활용한 국가가 어디냐'는 질문에 '본사에 말씀드려야 하는 상황이라 공개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또, 이 사안의 경위를 입증할 문건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담당자 중 퇴사자가 많아 이메일을 못 찾았고 증빙 자료도 없다'고 하는 등 자료 제출 요구를 계속 회피했습니다.
국내 기업의 경우 계속 문제를 제기하고 현장 조사도 할 수 있지만, 다국적 기업은 주권 침해 논란 우려로 상대적으로 소극적 대응하게 된다는 우려가 현실로 드러난 겁니다.
이와 관련해 최장혁 개인정보위 부위원장은 다국적 기업 사안 대응을 위해 국내 대리인의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는 등의 법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애플은 알리페이에 카카오페이 이용자의 결제정보 전송과 고객 점수 산출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하면서 정보의 국외 이전 내용을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은 점이 확인돼 과징금 24억5백만 원을 부과받았습니다.
기자ㅣ김현아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개인정보위가 공개한 당시 전체 회의 속기록을 보면 애플의 국내 대리인은 '알리 등 다른 기업에서 애플이 만든 고객 점수를 받아 활용한 국가가 어디냐'는 질문에 '본사에 말씀드려야 하는 상황이라 공개적으로 말하기 어렵다'고 답했습니다.
또, 이 사안의 경위를 입증할 문건이 있느냐는 질문에도 '담당자 중 퇴사자가 많아 이메일을 못 찾았고 증빙 자료도 없다'고 하는 등 자료 제출 요구를 계속 회피했습니다.
국내 기업의 경우 계속 문제를 제기하고 현장 조사도 할 수 있지만, 다국적 기업은 주권 침해 논란 우려로 상대적으로 소극적 대응하게 된다는 우려가 현실로 드러난 겁니다.
이와 관련해 최장혁 개인정보위 부위원장은 다국적 기업 사안 대응을 위해 국내 대리인의 책임과 의무를 강화하는 등의 법 개정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개인정보위 조사 결과, 애플은 알리페이에 카카오페이 이용자의 결제정보 전송과 고객 점수 산출을 위한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하면서 정보의 국외 이전 내용을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은 점이 확인돼 과징금 24억5백만 원을 부과받았습니다.
기자ㅣ김현아
AI 앵커ㅣY-GO
자막편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