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조태현 앵커, 조예진 앵커
■ 출연 : 서은숙 교수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 온라인 명품플랫폼 발란 이야기인데요. 결제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 서은숙 : 발란이 입점업체나 협력업체에 입금해야 되는 판매대금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협력사들의 현금흐름 위기가 발생하고 있고요. 결국 협력업체 운영위기로 연결되고 그러니까 연쇄적인 도산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발란이 이용하던 결제서비스 중단으로 인해서 소비자들의 원활한 구매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이게 발란의 유동성 위기로도 이어지는 상황이 됐고요. 카드사와 PG가 철수했다는 것은 발란의 신용과 재무건전성에 굉장히 중대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결제사들이 대체로 정산능력과 재무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때 서비스를 중단하게 되거든요. 그래서 이러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앵커 : 개인적으로 놀랐던 게 발란 쪽에서 진행되는 과정이라든지 해명 나오는 것들이 티메프 사태랑 유사해서 개인적으로 놀랐는데 티메프 사태 같은 것들이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와요.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 서은숙 : 정산금액과 지급일정을 밝히기는 했지만 입점사들의 불안은 계속 남아 있고요. 일부 입점사에 대한 정산금을 지급하지 못했는데 보면 현재 미정산 금액이 130억 원 정도로 추정되거든요. 그래서 현재 진행 중인 상황에 따라서 제2의 티메프 사태로 번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발란이 신속하고 투명한 대응을 해서 입점사들로부터 신뢰를 얻는 것이 우선인데요. 그러려면 유동성 문제를 해결해야 되거든요. 유동성 문제는 경기침체로 인해서 소비가 위축되면서 같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굉장히 어렵고 제2의 티메프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겠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담 발췌 : 정의진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서은숙 교수 상명대 경제금융학부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START]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 온라인 명품플랫폼 발란 이야기인데요. 결제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
◇ 서은숙 : 발란이 입점업체나 협력업체에 입금해야 되는 판매대금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협력사들의 현금흐름 위기가 발생하고 있고요. 결국 협력업체 운영위기로 연결되고 그러니까 연쇄적인 도산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발란이 이용하던 결제서비스 중단으로 인해서 소비자들의 원활한 구매가 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이게 발란의 유동성 위기로도 이어지는 상황이 됐고요. 카드사와 PG가 철수했다는 것은 발란의 신용과 재무건전성에 굉장히 중대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보통은 결제사들이 대체로 정산능력과 재무적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때 서비스를 중단하게 되거든요. 그래서 이러한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앵커 : 개인적으로 놀랐던 게 발란 쪽에서 진행되는 과정이라든지 해명 나오는 것들이 티메프 사태랑 유사해서 개인적으로 놀랐는데 티메프 사태 같은 것들이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 앞으로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도 나와요. 교수님께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 서은숙 : 정산금액과 지급일정을 밝히기는 했지만 입점사들의 불안은 계속 남아 있고요. 일부 입점사에 대한 정산금을 지급하지 못했는데 보면 현재 미정산 금액이 130억 원 정도로 추정되거든요. 그래서 현재 진행 중인 상황에 따라서 제2의 티메프 사태로 번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발란이 신속하고 투명한 대응을 해서 입점사들로부터 신뢰를 얻는 것이 우선인데요. 그러려면 유동성 문제를 해결해야 되거든요. 유동성 문제는 경기침체로 인해서 소비가 위축되면서 같이 나타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굉장히 어렵고 제2의 티메프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겠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대담 발췌 : 정의진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