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 4개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위협할 새로운 '악의 축' 후보로 지목받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 저널(WSJ)이 보도했습니다.
외교가에서 머리글자를 따 'CRINK'라고 불리기도 하는 4개국의 우호 관계가 더 깊은 외교적 연대로 발전할 수 있느냐는 향후 다극 체제 국제질서의 지형을 가늠할 중요한 질문 중 하나입니다.
WSJ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재하는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결과에 따라 이들 네 나라의 관계도 갈림길에 설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권위주의 사회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지리적·문화적 간극이 큰 네 나라는 오랫동안 각자 동떨어진 외교관계로만 연결돼 있었습니다.
이들이 한층 복잡한 4각 상호작용으로 결속하기 시작한 계기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이었습니다.
서방의 제재 속에서 전쟁에 드는 막대한 군수품을 조달해야 하는 러시아는 세 나라에 대한 의존도를 높였습니다.
북한이 만 2천여 명에 달하는 병사를 파병하고 막대한 탄약을 제공한 덕분에 러시아는 쿠르스크에서 빼앗겼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았습니다.
이란은 현대전의 핵심으로 떠오른 드론 기술을 러시아에 전수했습니다.
중국 제조업의 왕성한 생산력은 '전시 경제'를 운영하는 러시아에 군수 물자부터 생필품까지 다양한 소비재를 제공했습니다.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인 중국은 4각 공조의 경제적 기반입니다.
러시아와 이란이 서방의 제재를 피해 원유 등 에너지 자원을 수출하는 주요 시장이 중국입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점차 미국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사용한 거래를 늘리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달러화의 영향력을 줄이겠다는 두 나라의 목표와도 부합합니다.
북한은 여전히 경제적으로 중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습니다.
다만 수천 명의 노동자가 러시아에서 외화벌이에 나섰고, 러시아의 원유와 위성 기술 등이 북한으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WSJ은 이제 북한이 오랜 후원국인 중국보다 러시아와 더 활발히 외교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란은 2021년 중국과 향후 25년 동안 안정적 원유 공급과 대규모 투자를 교환하는 '전면 협력 협정'을 맺었고, 올해 1월에는 러시아와도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조약에 서명했습니다.
미국 정보기관은 "이들 4개국이 무역, 금융, 안보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과 경쟁할 대안적 체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다면 이 파트너십은 약화할 수 있다고 WSJ은 분석했습니다.
우선 러시아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유럽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중국 역시 다른 3개국에 비해 세계 무역 질서에 긴밀히 연결된 만큼 굳이 서방과의 관계 악화를 감수할 이유가 없어질 전망입니다.
반면 휴전 협상이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이들 4개국과 서방의 긴장은 더욱 팽팽해지고, 그만큼 내부 결속은 더 강해질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휴전 불발 시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와 관세 부과를 경고했고, 이란에 대해선 이미 최대 압박의 고삐를 죄고 있으며, 관세 전쟁을 시작한 중국과의 관계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미국 싱크탱크인 카네기 국제 평화 재단은 "핵무기를 보유한 러시아·북한과 핵무기 생산을 목전에 둔 이란의 관계 강화는 서방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자 | 이승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외교가에서 머리글자를 따 'CRINK'라고 불리기도 하는 4개국의 우호 관계가 더 깊은 외교적 연대로 발전할 수 있느냐는 향후 다극 체제 국제질서의 지형을 가늠할 중요한 질문 중 하나입니다.
WSJ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재하는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결과에 따라 이들 네 나라의 관계도 갈림길에 설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권위주의 사회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지리적·문화적 간극이 큰 네 나라는 오랫동안 각자 동떨어진 외교관계로만 연결돼 있었습니다.
이들이 한층 복잡한 4각 상호작용으로 결속하기 시작한 계기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이었습니다.
서방의 제재 속에서 전쟁에 드는 막대한 군수품을 조달해야 하는 러시아는 세 나라에 대한 의존도를 높였습니다.
북한이 만 2천여 명에 달하는 병사를 파병하고 막대한 탄약을 제공한 덕분에 러시아는 쿠르스크에서 빼앗겼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았습니다.
이란은 현대전의 핵심으로 떠오른 드론 기술을 러시아에 전수했습니다.
중국 제조업의 왕성한 생산력은 '전시 경제'를 운영하는 러시아에 군수 물자부터 생필품까지 다양한 소비재를 제공했습니다.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인 중국은 4각 공조의 경제적 기반입니다.
러시아와 이란이 서방의 제재를 피해 원유 등 에너지 자원을 수출하는 주요 시장이 중국입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점차 미국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사용한 거래를 늘리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달러화의 영향력을 줄이겠다는 두 나라의 목표와도 부합합니다.
북한은 여전히 경제적으로 중국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습니다.
다만 수천 명의 노동자가 러시아에서 외화벌이에 나섰고, 러시아의 원유와 위성 기술 등이 북한으로 유입되고 있습니다.
WSJ은 이제 북한이 오랜 후원국인 중국보다 러시아와 더 활발히 외교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란은 2021년 중국과 향후 25년 동안 안정적 원유 공급과 대규모 투자를 교환하는 '전면 협력 협정'을 맺었고, 올해 1월에는 러시아와도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조약에 서명했습니다.
미국 정보기관은 "이들 4개국이 무역, 금융, 안보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과 경쟁할 대안적 체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다면 이 파트너십은 약화할 수 있다고 WSJ은 분석했습니다.
우선 러시아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유럽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할 수 있습니다.
중국 역시 다른 3개국에 비해 세계 무역 질서에 긴밀히 연결된 만큼 굳이 서방과의 관계 악화를 감수할 이유가 없어질 전망입니다.
반면 휴전 협상이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이들 4개국과 서방의 긴장은 더욱 팽팽해지고, 그만큼 내부 결속은 더 강해질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휴전 불발 시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와 관세 부과를 경고했고, 이란에 대해선 이미 최대 압박의 고삐를 죄고 있으며, 관세 전쟁을 시작한 중국과의 관계는 말할 것도 없습니다.
미국 싱크탱크인 카네기 국제 평화 재단은 "핵무기를 보유한 러시아·북한과 핵무기 생산을 목전에 둔 이란의 관계 강화는 서방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기자 | 이승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