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카카오페이는 만우절인 4월 1일을 맞아 가상의 카카오페이 기능을 담은 `카카오페이 4.1 업데이트` 영상을 유튜브·인스타그램 채널에 공개했습니다.
31일 공개된 영상은 만우절을 앞두고 금전 문제와 관련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가상의 기능을 제안했습니다.
정산을 바로 안 하는 지인을 대상으로는 `강제 고백 기능`을 내놓았습니다.
정산 카톡을 보냈는데 정산을 오랫동안 하지 않으면 카카오페이가 강제 고백 알림을 보내는 기능입니다.
당사자가 정산을 완료할 때까지 `나 너 좋아해`, `나랑 사귀자` 등 고백 메시지를 지속 전달합니다.
애매한 관계의 친구 혹은 지인에게 축의금을 얼마나 내야 할지 모르겠다면 가상의 `축의금 자동 측정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
상대와의 대화 기록과 대화 시 심박수 및 동공 확장 등을 통해 친밀도와 호감도를 분석해 딱 맞는 축의금을 제안합니다.
카카오페이의 지난해 송금 봉투 분석 결과, 지난해 9월 기준 평균 축의금은 9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21년 평균 7만3천원보다 23% 증가한 수치입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6만원, 30~40대 10만원, 50~60대 12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페이는 "이번 콘텐츠는 만우절 맞아 돈과 관련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상황을 가상의 기능을 통해 해결하며 사용자에게 재미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카카오페이 인스타그램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31일 공개된 영상은 만우절을 앞두고 금전 문제와 관련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가상의 기능을 제안했습니다.
정산을 바로 안 하는 지인을 대상으로는 `강제 고백 기능`을 내놓았습니다.
정산 카톡을 보냈는데 정산을 오랫동안 하지 않으면 카카오페이가 강제 고백 알림을 보내는 기능입니다.
당사자가 정산을 완료할 때까지 `나 너 좋아해`, `나랑 사귀자` 등 고백 메시지를 지속 전달합니다.
애매한 관계의 친구 혹은 지인에게 축의금을 얼마나 내야 할지 모르겠다면 가상의 `축의금 자동 측정 기능`을 이용하면 됩니다.
상대와의 대화 기록과 대화 시 심박수 및 동공 확장 등을 통해 친밀도와 호감도를 분석해 딱 맞는 축의금을 제안합니다.
카카오페이의 지난해 송금 봉투 분석 결과, 지난해 9월 기준 평균 축의금은 9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2021년 평균 7만3천원보다 23% 증가한 수치입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6만원, 30~40대 10만원, 50~60대 12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카오페이는 "이번 콘텐츠는 만우절 맞아 돈과 관련된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상황을 가상의 기능을 통해 해결하며 사용자에게 재미있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기획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영상출처ㅣ카카오페이 인스타그램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