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가 부과돼도 한국과 일본처럼 미중 전략 경쟁에서 중요한 동맹국들은 관세 협상 카드를 쥐게 될 것이란 전직 미 국방부 당국자의 분석이 나왔습니다.
싯다르트 모한다스 전 미국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는 워싱턴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좌담에서 관세 발표가 최후통첩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과 안보 등 현안을 두고 논의하는 동맹국들은 미국과의 관세 관련 협상에서 카드를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모한다스 전 부차관보는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상호관세에 대해 "협상을 위한 '상 차리기'임을 매우 분명히 밝혀왔다"며 상호관세 발표 이후 각국과의 협상 여지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어 "반도체 영역에서 대중국 기술 경쟁, 바이오 기술, 군사·민간 기술, 우주 기술 등 모든 영역에서 미국은 한국과 일본과 같은 기술 선진국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에도 한국과 일본은 향후 미국과의 후속 협상을 하면서 미중 전략 경쟁에서 중요한 각종 기술 분야의 대미 협력을 지렛대로 삼을 수 있을 것이란 주장입니다.
조지 W.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국장을 지낸 마이클 그린 CSIS 선임 고문은 "관세 여파에도 미국과 동맹국 간 방위 협력은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무역 갈등이 방위 협력을 중단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왜냐하면 중국은 더 무서운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자: 이승윤
자막편집: 박해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싯다르트 모한다스 전 미국 국방부 동아시아 부차관보는 워싱턴의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 좌담에서 관세 발표가 최후통첩은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또 "미국과 안보 등 현안을 두고 논의하는 동맹국들은 미국과의 관세 관련 협상에서 카드를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모한다스 전 부차관보는 트럼프 행정부가 그동안 상호관세에 대해 "협상을 위한 '상 차리기'임을 매우 분명히 밝혀왔다"며 상호관세 발표 이후 각국과의 협상 여지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어 "반도체 영역에서 대중국 기술 경쟁, 바이오 기술, 군사·민간 기술, 우주 기술 등 모든 영역에서 미국은 한국과 일본과 같은 기술 선진국을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결국,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에도 한국과 일본은 향후 미국과의 후속 협상을 하면서 미중 전략 경쟁에서 중요한 각종 기술 분야의 대미 협력을 지렛대로 삼을 수 있을 것이란 주장입니다.
조지 W.부시 행정부 시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국장을 지낸 마이클 그린 CSIS 선임 고문은 "관세 여파에도 미국과 동맹국 간 방위 협력은 계속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무역 갈등이 방위 협력을 중단시키지 않을 것"이라며 "왜냐하면 중국은 더 무서운 존재이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자: 이승윤
자막편집: 박해진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