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폭탄에 아이폰 가격 333만 원 될 수도"...미국 소비자들 폭탄 [굿모닝경제]

"트럼프 폭탄에 아이폰 가격 333만 원 될 수도"...미국 소비자들 폭탄 [굿모닝경제]

2025.04.04. 오전 08:20.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가 시행된다면 최악의 경우 아이폰 최상위 모델 가격이 333만원에 이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애플이 관세 부과에 따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한다면 아이폰 가격이 현재보다 30∼40%까지 오를 수 있을 것으로 분석가들은 예상한다고 로이터통신이 3일(현지시간) 보도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전날 중국에 대해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이에 기존 중국에 적용해온 20%의 관세를 더하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제품의 관세는 54%로 급등하게 됩니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을 동남아 등으로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 로젠블래트 증권은 미국에서 799달러에 출시된 아이폰16 시리즈 기본형의 경우 관세 인상 시 가격이 최대 1천142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로젠블래트 증권은 트럼프 대통령이 부과한 상호관계를 토대로 애플이 이 비용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할 경우 43%의 가격 인상이 일어날 수 있다고 예측한 것입니다.

특히,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경우 소비자 가격이 1천599달러에서 43% 오른 2천300달러에 달할 수도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지난 2월에 출시된 보급형인 아이폰 16e의 경우 599달러에서 856달러로 오를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상호관세는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한 것으로, 이처럼 인상된 가격은 미국 내에서만 적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에도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폭넓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애플은 당시 일부 제품에 대해 면제나 유예를 받았습니다.

로젠블래트 증권의 바튼 크로켓 애널리스트는 "이번 중국 관세는 미 대표 기업인 애플이 지난번처럼 특혜를 받을 것이라는 우리의 예상과 전혀 다르게 전개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공동 창립자 닐 샤는 "애플이 관세 비용을 상쇄하기 위해서는 평균적으로 가격을 최소 30% 인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