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 진행 : 성문규 앵커, 박민설 앵커
■ 출연 : 성치훈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지금 굉장히 강력해 보이긴 합니다. 이재명 대표가 조만간 대표직을 사퇴할 것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어떻게들 파악하고 있나요?
◇ 성치훈
일단 언론보도에서는 주말 중에도 가능하다, 이런 얘기들도 나오고 있는데. 그럴 일은 없을 거라고 보고 있고요. 빨라봐야 월요일, 다음 주는 일단 넘어가야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지금 화요일에 또 국무회의가 열리잖아요. 그때 아마도 한덕수 권한대행이 차기 대선 날짜를 아마 국무회의에서 논의해서 최종 결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면 그쯤 해서 그런 게 발표 난 이후에 사퇴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예측해 봅니다. 왜냐하면 지금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당대표직을 사퇴하고 바로 대선모드로 넘어가는 게 국민들 보시기에는 그렇게 좋아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재명 대표도 즉각적인 행동보다는 조금 더 일정이 구체화된다거나 아니면 조금 더 시간이 며칠이라도 지난 뒤에 그런 결단을 내리고 대표직에서 내려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앵커
그런데 어쨌든 민주당에서 가장 유력한 주자가 이재명 대표이기는 한데 경선을 치를까요, 어떻게 분위기가 되고 있습니까?
◇ 성치훈
경선을 해야죠. 공당이기 때문에 공당의 후보를 결정하는 과정은 경선과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습니다. 후보자 등록을 받아야 되고 혹시 아무런 후보... 이재명 대표 이외에 후보가 안 나올 경우에야 경선이라는 게 의미가 없어질 수도 있지만 아마 저는 많은 군수후보들이 나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분들과 함께 경선을 거쳐서 전당이라는 게 그래도 전국 경선을 거치면서 전국의 조직도 정비하고 그러면서 다른 군소후보들의 정책도 앞서가는 후보가 받아들이기도 하고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컨벤션효과를 누려야 되는 것이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당연히 추대나 이런 형식이 아니라 당헌당규에 있는 그대로 경선과정을 거쳐서 후보를 선출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앵커
지금 그러면 누가 경선에 나올까요? 어떤 분들이 유력합니까?
◇ 성치훈
많은 후보군이 있죠. 김동연 지사도 있고 그리고 김부겸 전 총리도 있고 김경수 전 지사도 있고 이런 분들. 박용진 전 의원이라든지. 저는 이런 분들 다양하게 나오셔야 된다고 생각을 하고요. 어차피 이재명 대표가 이기는 거 아니냐라는 말씀들을 많이 하시지만 이번 대선은 제가 봤을 때는 아무리 탄핵정국 속에서 이루어지는 대선이라고 하더라도 국민의힘이 2017년과는 달리 사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아주 박빙의 승부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방금 말씀드린 김부겸 전 총리, 김경수 지사 이런 분들을 좋아해서 민주당을 지지하는 분들의 표까지도 한 표 한 표 다 끌어내야 하거든요. 그러기 위해서는 그분들도경선에 참여해서 그분들의 목소리를 내는 과정을 거쳤다는 것을 보여드려야 그분들을 지지하는 작은 지지일지라도 그분들도 함께 최종 지지까지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저는 그런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앵커
어대명, 어차피 대세는 이런 이야기 있다고 해도 또 재보궐선거 때 담양군수 사례를 보면 반이재명 정서 숙제다. 이런 지적도 나왔거든요.
◇ 성치훈
중도확장 그리고 호남의 정서 이것들이 지금 60일 동안 우리 당의 그리고 이재명 대표에게 주어진 과제일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 올초에 있었던 비명계 끌어안기 행보들이 그 이후에 주춤하거나 멈췄던 부분이 있는데 이거 다시 이어가셔야죠. 물론 경선을 하는 동안 그들을 끌어안는 제스처나 이런 것들을 하기는 어렵겠지만 경선하는 동안 어떤 태도로 그들을 받아들이고 어떤 태도로 그들의 의견이나 이런 것들을 수렴하는지를 보면 이것이 비명계를 지지하는 분들, 비명계 성향을 띠고 있는 민주당 지지층에게 보여질 것이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이재명 대표가 그런 모습들을 본인의 한계를 분명히 알고 있을 겁니다. 본인이 호남에서 안 나오고 있는 것, 비명계 지지를 못 받고 있는 것. 이런 것들을 다 알고서 경선에 임할 것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극복해나가는 과제가 분명히 이해하실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대담 발췌 : 윤현경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 출연 : 성치훈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 앵커
지금 굉장히 강력해 보이긴 합니다. 이재명 대표가 조만간 대표직을 사퇴할 것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어떻게들 파악하고 있나요?
◇ 성치훈
일단 언론보도에서는 주말 중에도 가능하다, 이런 얘기들도 나오고 있는데. 그럴 일은 없을 거라고 보고 있고요. 빨라봐야 월요일, 다음 주는 일단 넘어가야 된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지금 화요일에 또 국무회의가 열리잖아요. 그때 아마도 한덕수 권한대행이 차기 대선 날짜를 아마 국무회의에서 논의해서 최종 결정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그렇게 된다면 그쯤 해서 그런 게 발표 난 이후에 사퇴하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예측해 봅니다. 왜냐하면 지금 마치 기다렸다는 듯이 당대표직을 사퇴하고 바로 대선모드로 넘어가는 게 국민들 보시기에는 그렇게 좋아 보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이재명 대표도 즉각적인 행동보다는 조금 더 일정이 구체화된다거나 아니면 조금 더 시간이 며칠이라도 지난 뒤에 그런 결단을 내리고 대표직에서 내려올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앵커
그런데 어쨌든 민주당에서 가장 유력한 주자가 이재명 대표이기는 한데 경선을 치를까요, 어떻게 분위기가 되고 있습니까?
◇ 성치훈
경선을 해야죠. 공당이기 때문에 공당의 후보를 결정하는 과정은 경선과정을 거치도록 되어 있습니다. 후보자 등록을 받아야 되고 혹시 아무런 후보... 이재명 대표 이외에 후보가 안 나올 경우에야 경선이라는 게 의미가 없어질 수도 있지만 아마 저는 많은 군수후보들이 나올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분들과 함께 경선을 거쳐서 전당이라는 게 그래도 전국 경선을 거치면서 전국의 조직도 정비하고 그러면서 다른 군소후보들의 정책도 앞서가는 후보가 받아들이기도 하고 이런 과정을 거치면서 컨벤션효과를 누려야 되는 것이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저는 당연히 추대나 이런 형식이 아니라 당헌당규에 있는 그대로 경선과정을 거쳐서 후보를 선출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앵커
지금 그러면 누가 경선에 나올까요? 어떤 분들이 유력합니까?
◇ 성치훈
많은 후보군이 있죠. 김동연 지사도 있고 그리고 김부겸 전 총리도 있고 김경수 전 지사도 있고 이런 분들. 박용진 전 의원이라든지. 저는 이런 분들 다양하게 나오셔야 된다고 생각을 하고요. 어차피 이재명 대표가 이기는 거 아니냐라는 말씀들을 많이 하시지만 이번 대선은 제가 봤을 때는 아무리 탄핵정국 속에서 이루어지는 대선이라고 하더라도 국민의힘이 2017년과는 달리 사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아주 박빙의 승부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방금 말씀드린 김부겸 전 총리, 김경수 지사 이런 분들을 좋아해서 민주당을 지지하는 분들의 표까지도 한 표 한 표 다 끌어내야 하거든요. 그러기 위해서는 그분들도경선에 참여해서 그분들의 목소리를 내는 과정을 거쳤다는 것을 보여드려야 그분들을 지지하는 작은 지지일지라도 그분들도 함께 최종 지지까지 이끌어낼 수 있기 때문에 저는 그런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 앵커
어대명, 어차피 대세는 이런 이야기 있다고 해도 또 재보궐선거 때 담양군수 사례를 보면 반이재명 정서 숙제다. 이런 지적도 나왔거든요.
◇ 성치훈
중도확장 그리고 호남의 정서 이것들이 지금 60일 동안 우리 당의 그리고 이재명 대표에게 주어진 과제일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 올초에 있었던 비명계 끌어안기 행보들이 그 이후에 주춤하거나 멈췄던 부분이 있는데 이거 다시 이어가셔야죠. 물론 경선을 하는 동안 그들을 끌어안는 제스처나 이런 것들을 하기는 어렵겠지만 경선하는 동안 어떤 태도로 그들을 받아들이고 어떤 태도로 그들의 의견이나 이런 것들을 수렴하는지를 보면 이것이 비명계를 지지하는 분들, 비명계 성향을 띠고 있는 민주당 지지층에게 보여질 것이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이재명 대표가 그런 모습들을 본인의 한계를 분명히 알고 있을 겁니다. 본인이 호남에서 안 나오고 있는 것, 비명계 지지를 못 받고 있는 것. 이런 것들을 다 알고서 경선에 임할 것이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극복해나가는 과제가 분명히 이해하실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대담 발췌 : 윤현경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Y녹취록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