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미국과 국경을 맞댄 이웃 국가인 멕시코와 캐나다가 트럼프 행정부의 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한때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 협정(USMCA)에 근거해 확보했던 '관세 무풍' 우대 조처가 없던 일로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제기되자 백악관은 "두 나라의 경우 현상 변경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90일 유예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멕시코와 캐나다가 10% 기본 관세 부과 적용 대상국 목록에 포함된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CBC 뉴스는 이를 두고 미국이 많은 국가에 90일간 관세 유예를 주지만, 북미의 두 이웃 국가에겐 아니라고 보도했습니다.
또 "USMCA에 근거해 처음에 면제됐던 캐나다와 멕시코에 10% 기본 관세가 모두 적용된다는 것을 백악관 관계자가 확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상황을 '뒤죽박죽'이라고 표현하면서 "혼동을 일으키는" 트럼프 행정부를 성토했습니다.
멕시코 일간 엘 우니베르살과 엘 피난시에로 역시 "트럼프가 발표한 10% 전 세계 관세 대상국 목록에 멕시코와 캐나다가 들어갔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가 지난주에 발표한 관세 부과 대상에선 멕시코도, 캐나다도 언급되지 않았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2일 미국 백악관은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 방침 발표 이후 홈페이지에 게시한 설명 자료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USMCA 기준에 맞는 제품은 무관세 적용을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펜타닐 유입·이민자 흐름을 적절히 억제하지 못한 귀책과 연관된 국제 비상 경제권법(IEEPA) 명령(25% 관세 부과)은 유효하다고 적시했습니다.
이 때문에 멕시코에선 10% 기본 관세와 IEEPA에 근거한 25% 관세 사이에서 '정확한 부과 비율'에 대한 세부 사항을 알기 위해 미국 측과의 접촉에 안간힘을 썼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습니다.
갑작스러운 관세 정책 변경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는 베선트의 발언 이후 2시간여 뒤에 "현재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적용되는 관세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USMCA 규정에 맞춘 제품들에 대한 면세 방침이 유지된다는 취지입니다.
백악관 관계자는 "멕시코와 캐나다의 경우 USMCA에 적용받지 않는 물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유지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캐나다 CBC 뉴스는 "혼돈을 겪은 하루였다"면서 "미국의 번복 속에 캐나다와 멕시코에 새로운 소식은 없다"고 꼬집었습니다.
기자ㅣ이승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미국·멕시코·캐나다 무역 협정(USMCA)에 근거해 확보했던 '관세 무풍' 우대 조처가 없던 일로 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까지 제기되자 백악관은 "두 나라의 경우 현상 변경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90일 유예 발표 직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멕시코와 캐나다가 10% 기본 관세 부과 적용 대상국 목록에 포함된다고 밝혔습니다.
캐나다 CBC 뉴스는 이를 두고 미국이 많은 국가에 90일간 관세 유예를 주지만, 북미의 두 이웃 국가에겐 아니라고 보도했습니다.
또 "USMCA에 근거해 처음에 면제됐던 캐나다와 멕시코에 10% 기본 관세가 모두 적용된다는 것을 백악관 관계자가 확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어 상황을 '뒤죽박죽'이라고 표현하면서 "혼동을 일으키는" 트럼프 행정부를 성토했습니다.
멕시코 일간 엘 우니베르살과 엘 피난시에로 역시 "트럼프가 발표한 10% 전 세계 관세 대상국 목록에 멕시코와 캐나다가 들어갔다"고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트럼프가 지난주에 발표한 관세 부과 대상에선 멕시코도, 캐나다도 언급되지 않았다"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2일 미국 백악관은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 방침 발표 이후 홈페이지에 게시한 설명 자료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의 경우 USMCA 기준에 맞는 제품은 무관세 적용을 유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펜타닐 유입·이민자 흐름을 적절히 억제하지 못한 귀책과 연관된 국제 비상 경제권법(IEEPA) 명령(25% 관세 부과)은 유효하다고 적시했습니다.
이 때문에 멕시코에선 10% 기본 관세와 IEEPA에 근거한 25% 관세 사이에서 '정확한 부과 비율'에 대한 세부 사항을 알기 위해 미국 측과의 접촉에 안간힘을 썼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습니다.
갑작스러운 관세 정책 변경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는 베선트의 발언 이후 2시간여 뒤에 "현재 캐나다와 멕시코산 제품에 적용되는 관세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USMCA 규정에 맞춘 제품들에 대한 면세 방침이 유지된다는 취지입니다.
백악관 관계자는 "멕시코와 캐나다의 경우 USMCA에 적용받지 않는 물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유지된다"고 말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습니다.
캐나다 CBC 뉴스는 "혼돈을 겪은 하루였다"면서 "미국의 번복 속에 캐나다와 멕시코에 새로운 소식은 없다"고 꼬집었습니다.
기자ㅣ이승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