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시뻘건 불길이 산을 통째로 잡아먹을 것처럼 활활 타오릅니다.
지난달 경북 지역을 초토화했던 산불 모습입니다. 다시 봐도 정말 아찔하죠?
서울 절반이 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습니다.
역대 가장 오래, 가장 넓은 면적을 태운 산불이란 오명도 얻었습니다.
화마는 주민들 보금자리마저 한순간에 날려버렸습니다.
하루아침에 집을 잃고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체육관에 대피해 쪽잠을 자는 신세인데요.
그런데 최근에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산불이 난 이후에 일부 시군 인구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경북 안동시는 지난달 기준 3백40명, 의성군은 15명이 늘었습니다.
영덕군도 산불 직후 전입신고 건수가 지난해보다 세 배가 늘었다고 합니다.
왜 그런 걸까요?
산불 피해 지원금을 노린 게 아니냐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경상북도가 산불 피해 지역 주민에게 한 사람당 30만 원씩 재난지원금을 주겠다고 발표한 날부터 전입신고가 집중됐습니다.
휴일에 인터넷으로 신청을 하고 이미 잿더미가 된 집을 전입 주소로 적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자치단체는 이런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경북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 복잡한 전입 관계가 있을 수 있으니까 먼저 신청을 받아보고 요건을 갖춘 사람은 돈이 지급될 거고, 나머지는 이제 새로 검토를 해봐야 할 것 같아요.]
이재민들을 두 번 울리는 게 또 있습니다.
바로 쓰레기 구호품입니다.
기부한다면서 해진 옷이나 신발, 기름때 묻은 국자, 먼지 가득한 이불 등을 보내기도 하는데 도움은커녕 외려 처리하느라 돈을 쓰고 있습니다.
'착불'로 보내는 경우도 많다는데요.
한 구호단체는 헌 곳 상자를 착불로 받았는데 택배비로만 70만 원이 넘게 냈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안 그래도 마음 심란한 사람들에게 도움은 주지 못할망정, '얌체 짓'까지는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앵커 | 황윤태
자막뉴스 | 정의진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지난달 경북 지역을 초토화했던 산불 모습입니다. 다시 봐도 정말 아찔하죠?
서울 절반이 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습니다.
역대 가장 오래, 가장 넓은 면적을 태운 산불이란 오명도 얻었습니다.
화마는 주민들 보금자리마저 한순간에 날려버렸습니다.
하루아침에 집을 잃고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체육관에 대피해 쪽잠을 자는 신세인데요.
그런데 최근에 이상한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산불이 난 이후에 일부 시군 인구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경북 안동시는 지난달 기준 3백40명, 의성군은 15명이 늘었습니다.
영덕군도 산불 직후 전입신고 건수가 지난해보다 세 배가 늘었다고 합니다.
왜 그런 걸까요?
산불 피해 지원금을 노린 게 아니냐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경상북도가 산불 피해 지역 주민에게 한 사람당 30만 원씩 재난지원금을 주겠다고 발표한 날부터 전입신고가 집중됐습니다.
휴일에 인터넷으로 신청을 하고 이미 잿더미가 된 집을 전입 주소로 적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자치단체는 이런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경북 지방자치단체 관계자 : 복잡한 전입 관계가 있을 수 있으니까 먼저 신청을 받아보고 요건을 갖춘 사람은 돈이 지급될 거고, 나머지는 이제 새로 검토를 해봐야 할 것 같아요.]
이재민들을 두 번 울리는 게 또 있습니다.
바로 쓰레기 구호품입니다.
기부한다면서 해진 옷이나 신발, 기름때 묻은 국자, 먼지 가득한 이불 등을 보내기도 하는데 도움은커녕 외려 처리하느라 돈을 쓰고 있습니다.
'착불'로 보내는 경우도 많다는데요.
한 구호단체는 헌 곳 상자를 착불로 받았는데 택배비로만 70만 원이 넘게 냈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안 그래도 마음 심란한 사람들에게 도움은 주지 못할망정, '얌체 짓'까지는 하지 말아야겠습니다.
앵커 | 황윤태
자막뉴스 | 정의진 안진영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