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최근 엔화 강세와 항공료 상승, 일본 정부의 관광 규제 강화 등 여파로 일본 여행 수요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한때 ‘가성비 여행지’로 인기를 끌던 일본이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동남아와 유럽 등에 밀려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13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교원투어의 5월 황금연휴(1~6일) 출발 기준 일본 여행 예약률은 전년 대비 45% 감소했습니다.
예약 순위도 베트남, 유럽, 태국, 중국에 이어 5위에 머물렀습니다.
국가별 예약 비중은 △베트남 18.7% △유럽 17.2% △태국 14.4% △중국 11.7% △일본 9.3% 순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3.1%였던 일본 비중이 크게 줄었습니다.
일본 여행 수요는 지난 2년간 이어진 엔화 약세에 힘입어 급증했습니다.
특히 올해 설 연휴 기간에는 일본을 찾은 한국인이 27만6천여 명에 달하며 해외여행지 중 1위를 차지했고, 같은 달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은 97만9천여 명으로 월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원·엔 환율이 1천원을 돌파하면서 상황이 반전됐습니다.
2월 이후 환율이 970원대를 넘긴 데 이어, 이달 초에는 1,025원까지 치솟았다가 992원대로 다소 진정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성비’ 매력을 잃은 일본 여행에 제동이 걸렸다는 분석입니다.
항공권 가격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본 정부가 ‘오버투어리즘’ 문제에 대응해 출국세를 현재 1,000엔에서 5,000엔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주요 관광지 입장료 인상과 지방자치단체의 숙박세 신설·인상도 추진되고 있어 향후 일본 여행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한때 ‘가성비 여행지’로 인기를 끌던 일본이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동남아와 유럽 등에 밀려나고 있는 모습입니다.
13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교원투어의 5월 황금연휴(1~6일) 출발 기준 일본 여행 예약률은 전년 대비 45% 감소했습니다.
예약 순위도 베트남, 유럽, 태국, 중국에 이어 5위에 머물렀습니다.
국가별 예약 비중은 △베트남 18.7% △유럽 17.2% △태국 14.4% △중국 11.7% △일본 9.3% 순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3.1%였던 일본 비중이 크게 줄었습니다.
일본 여행 수요는 지난 2년간 이어진 엔화 약세에 힘입어 급증했습니다.
특히 올해 설 연휴 기간에는 일본을 찾은 한국인이 27만6천여 명에 달하며 해외여행지 중 1위를 차지했고, 같은 달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은 97만9천여 명으로 월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원·엔 환율이 1천원을 돌파하면서 상황이 반전됐습니다.
2월 이후 환율이 970원대를 넘긴 데 이어, 이달 초에는 1,025원까지 치솟았다가 992원대로 다소 진정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성비’ 매력을 잃은 일본 여행에 제동이 걸렸다는 분석입니다.
항공권 가격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일본 정부가 ‘오버투어리즘’ 문제에 대응해 출국세를 현재 1,000엔에서 5,000엔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주요 관광지 입장료 인상과 지방자치단체의 숙박세 신설·인상도 추진되고 있어 향후 일본 여행 수요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제작 | 이 선
#지금이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