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막뉴스] 단순한 패치 아니다...땀 닿자 '몸 속 건강' 순식간에 확인

[자막뉴스] 단순한 패치 아니다...땀 닿자 '몸 속 건강' 순식간에 확인

2025.04.13. 오후 2:24.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피부에 얇은 패치를 붙이고 가볍게 자전거를 탑니다.

10분 정도 지나자 땀이 나면서 센서가 성분 측정 결과를 보여줍니다.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땀 센서 패치'입니다.

패치에 소형 디스플레이가 달려 있어 땀 속 성분이나 수분 상태, 젖산 농도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정밀한 전기화학 측정 기술을 이용해 사용자가 현장에서 즉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색도 검사법'이 활용됐습니다.

센서 내부 챔버의 이산화티타늄(TiO₂)입자는 표면에 음전하를 띠고 있는데, 땀 속의 전해질이 만든 전류와 외부 전압이 더해지면 양전하를 띄는 ITO 전극에 붙게 됩니다.

이때 파란색 신호가 나타나고, 전극과 떨어지면 사라지는 원리입니다.

[구자현 / 고려대 바이오의공학과 부교수 : TiO₂입자를 이용해서 우리가 전압을 가하면 색깔이 발현되고 전압을 끄면 색깔이 없어지는 그런 디지털 색도 검사를 만들게 되었고. 저희가 전압을 주고 뺌으로써 지속적으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

또, 근육의 피로도를 나타내는 젖산의 농도를 4단계로 구분해 사용자가 운동 중 체내 대사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여기에 초소형 배터리를 장착해 휴대성과 실용성도 높였습니다.

[성다은 / 고려대 바이오의공학과 석사과정생 : 최소 크기의 배터리를 사용했을 때 17시간이 가능하고. / 별도의 커다란 분석 장비 없이도 이제 장비 사용자가 자신의 헬스케어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흘리는 땀만으로도 몸속 대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땀 센서 패치.

열사병 예방은 물론 운동 중 전해질 관리 등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YTN 사이언스 권석화입니다.

영상취재ㅣ김영환
디자인ㅣ김진호
자막뉴스ㅣ이 선

#YTN자막뉴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