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모드' 돌입한 중국의 무장 태세...고위직에 은밀히 전달된 지령 [지금이뉴스]

'전시 모드' 돌입한 중국의 무장 태세...고위직에 은밀히 전달된 지령 [지금이뉴스]

2025.04.14. 오후 8:02.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중국 관가가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 따라 '전시모드'에 돌입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오늘 소식통들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소식통 2명은 중국 외교부와 상무부 관료들에게 휴가를 취소하고 핸드폰을 24시간 켜두라는 지시가 내려졌다면서 이같이 전했습니다.

미국 문제를 다루는 부서도 보강됐는데, 여기에는 트럼프 1기 때 미중 문제를 담당했던 공무원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정부는 또 관료들에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 맞서도록 다른 국가들을 유도하기 위한 외교전을 강화하라는 지시도 하달했습니다.

이에 중국 외교관들은 실제로 여러 국가에 국제 공조를 요청하는 서한을 발송하는 등 트럼프 관세의 목표가 된 국가들에 연락했습니다.

이 가운데는 유럽과 일본, 한국 등 전통적인 미국 동맹국들도 포함됐습니다.

중국의 대응 방안 수립에는 중국 공산당 선전 담당자들이 주도적 역할을 했습니다.

중국은 지난 몇 개월간 트럼프 행정부와 고위급 소통 채널을 구축하고 미국과 윈-윈(Win-win)하는 무역 관계를 지키려 노력해왔습니다.

낙관적인 일부 중국 전문가는 당시 미중이 무역과 틱톡, 나아가 대만 문제까지 포함한 대규모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기까지 했습니다.

이런 중국이 전면적인 반격으로 태세를 전환한 계기는 현지시간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이 '경제적 독립기념일'이라고 주장한 상호관세 발표일 이후입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중국은 추이톈카이 당시 미 주재 중국대사와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등 미국과 여러 고위급 소통 채널을 두고 있었지만, 현재는 이런 채널이 없다고 로이터는 지적했습니다.

셰펑 주미 중국대사가 중국 내 최대 생산공장을 가진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와 접촉을 시도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 왕이 중국 외교부장도 지난 2월 유엔 회의 참석차 미국 뉴욕을 방문해 마크 루비오 국무장관을 만나려 했으나 실패했으며, 마이크 월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남도 기대와 달리 성사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로이터는 중국이 미국과 협상 모색에서 보복 관세를 포함한 전면전으로 전환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미국과 중국 관료를 포함해 10여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제작 | 이미영


#지금이뉴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