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
이번 관세전쟁이 시작되기 전, 중국이 추이톈카이 전 주미중국대사를 조용히 미국에 보내 협상 기회를 모색했으나 대화가 성사되지 않았다는 뒷이야기가 전해졌습니다.
홍콩 성도일보는 14일, 표면적으로는 추이 전 대사의 급이 높지 않다는 점을 문제 삼았지만, 실제로는 근본적으로 대화를 할 생각이 없는 것이었다며 "극한의 압박을 가하려는 의도에서 값을 높여 차이치(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공식 서열 5위)를 거명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성도일보는 "중국이 설령 국무원 부총리이자 중미 경제·무역 선도인인 허리펑을 미국에 보내 소통하면 급이 충분히 높아진 것인가. 그랬다면 무슨 결과라도 있었을 것인가"라고 질문을 던진 뒤 "답은 `그렇지 않았을 것`이고, 오히려 미국의 기세를 높였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매체는 '트럼프 1기'였던 2018년, 류허 당시 중국 부총리 지명자가 미국에 다녀온 뒤 중국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미중 양국이 무역 전쟁을 벌이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얼마 안 가 무역 전쟁이 시작됐다는 점과 류허가 부총리가 된 뒤에 무역 협상을 위해 다시 미국에 갔으나 모욕당하고 빈손으로 돌아왔다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성도일보는 "트럼프 관세 전쟁의 본심은 관세에 있지 않다"며 "궁극적 목표는 미국의 유일무이한 경쟁 우위를 확정하고 중국의 산업 업그레이드 기회를 철저히 죽여 영원히 미국의 '저가 공장'이 되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베트남 등 소국은 미국 시장에 고도로 의지하니 대항할 힘이 없고, 미국에 무릎을 꿇을 수 있다"며 "중국은 설령 투항한다 해도 도움이 안 되고 실패가 정해져 있다. 반드시 강하게 반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막편집: 박해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홍콩 성도일보는 14일, 표면적으로는 추이 전 대사의 급이 높지 않다는 점을 문제 삼았지만, 실제로는 근본적으로 대화를 할 생각이 없는 것이었다며 "극한의 압박을 가하려는 의도에서 값을 높여 차이치(중국공산당 중앙서기처 서기·공식 서열 5위)를 거명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성도일보는 "중국이 설령 국무원 부총리이자 중미 경제·무역 선도인인 허리펑을 미국에 보내 소통하면 급이 충분히 높아진 것인가. 그랬다면 무슨 결과라도 있었을 것인가"라고 질문을 던진 뒤 "답은 `그렇지 않았을 것`이고, 오히려 미국의 기세를 높였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매체는 '트럼프 1기'였던 2018년, 류허 당시 중국 부총리 지명자가 미국에 다녀온 뒤 중국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에서 '미중 양국이 무역 전쟁을 벌이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얼마 안 가 무역 전쟁이 시작됐다는 점과 류허가 부총리가 된 뒤에 무역 협상을 위해 다시 미국에 갔으나 모욕당하고 빈손으로 돌아왔다는 점을 상기시켰습니다.
성도일보는 "트럼프 관세 전쟁의 본심은 관세에 있지 않다"며 "궁극적 목표는 미국의 유일무이한 경쟁 우위를 확정하고 중국의 산업 업그레이드 기회를 철저히 죽여 영원히 미국의 '저가 공장'이 되게 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베트남 등 소국은 미국 시장에 고도로 의지하니 대항할 힘이 없고, 미국에 무릎을 꿇을 수 있다"며 "중국은 설령 투항한다 해도 도움이 안 되고 실패가 정해져 있다. 반드시 강하게 반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막편집: 박해진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